안녕하세요, AI 매터스 입니다.
AI 매터스는 생성형 AI 분야에서 수없이 쏟아져 나오는 소식 중에서 꼭 참고해야 할 내용을 엄선해 매일 기사를 발행하고 있습니다. 그 가운데 놓치지 말아야 할 중요한 이슈들을 정리하여 뉴스레터로 제공해드립니다.
AI 매터스와 함께 최신 AI 트렌드를 빠르게 파악해보세요.
인공지능(AI) 개발에는 상당한 돈이 든다. 그러나 적시에 적절한 비용을 투자하지 않으면 더 큰 비용으로 돌아온다. 애플과 메타의 이야기다.
메타의 143억 달러 베팅 – 알렉산더 왕이라는 인재
메타 마크 저커버그 CEO는 AI 경쟁에서 뒤처지지 않기 위해 전례 없는 투자를 단행하고 있다. 최근 데이터 라벨링 스타트업 스케일AI에 143억 달러(약 20조원)를 투자해 지분 49%를 확보하며 알렉산더 왕 CEO를 영입했다.
1997년생인 알렉산더 왕은 세계 최연소 자수성가 억만장자 중 한 명으로, MIT를 중퇴하고 19세에 스케일AI를 창업했다. 그러나 AI 시장 초창기에 그의 회사는 별로 주목받았던 편이 아니었다.
스케일AI의 핵심 사업인 데이터 라벨링은 AI 학습을 위한 데이터를 선별해 정제하고 주석을 다는 작업이다. 즉, 인공지능 추론 학습의 재료를 만드는 작업을 한다. 국내에도 크라우드웍스, 에이모 등의 업체가 있다.
그러나 AI 시장 초기에는 이 작업이 ‘부가가치가 낮은 단순 하청’ 업무로 인식됐다. AI의 혁신은 주로 모델 개발(알고리즘)에서 나온다고 여겨졌고, 구글, 페이스북, 오픈AI 등 대형 테크기업의 모델 개발과 논문에 관심이 쏠려 있었다.
또한 스케일AI는 일반 소비자 대상이 아닌 기업과 정부를 대상으로 하는 B2B 비즈니스 모델이었기 때문에 대중적 화제성이 부족했다. 자율주행, 의료, 국방 등 특수 산업군에 특화된 서비스는 ‘혁신’ 이미지보다는 조력자 역할로만 인식됐다.
알렉산더 왕 본인도 “2015년 이전에는 AI가 거대 기업들의 게임이었고, 데이터 라벨링은 그저 지원 업무로 여겨졌다”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이후 AI 모델의 성능 한계가 데이터 품질에서 비롯된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스케일AI의 가치가 재평가받기 시작했다.
메타가 왕을 영입할 때도 ‘기술자’라기보다는 ‘비전가’로서의 역량, 업계 네트워크, 사업적 통찰을 높이 평가한 것으로 알려졌다. 알렉산더 왕은 앞으로 메타에서 ‘수퍼인텔리전스 랩’의 총괄한다. 메타가 현재 뒤처졌다고 평가받고 있는 초지능 개발을 주도할 예정이다.
메타는 최근 Safe Superintelligence(SSI)의 CEO 다니엘 그로스(Daniel Gross)를 영입하기도 했다. SSI는 현재의 딥러닝 모델에 가장 큰 영향을 준 모델 알렉스넷을 만들었고, 챗혰를 공동 창업한 일리야 수츠케버(Ilya Sutskever)가 공동 창업한 회사다. 메타는 SSI를 인수하려 했으나 실패했고, 대신 SSI의 CEO인 다니엘 그로스와 전 GitHub CEO인 낫 프리드먼(Nat Friedman)을 영입하기로 했다.
메타의 천문학적 인재 영입 전쟁
메타는 인재 영입에도 돈을 들이붓고 있다. 오픈AI CEO 샘 알트먼은 최근 팟캐스트에서 “메타가 우리 팀원들에게 1억 달러(약 1360억 원) 사이닝 보너스와 그보다 더 큰 연봉을 제안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알트먼은 “다행히 지금까지 우리의 최고 인재들 중 누구도 그 제안을 받아들이지 않았다”며 메타의 영입 시도가 실패했다고 덧붙였다.
알트먼은 “메타가 우리를 가장 큰 경쟁자로 생각한다고 들었다”며 “그들의 현재 AI 노력이 기대만큼 잘되지 않았고, 공격적으로 새로운 시도를 계속하는 것을 존중한다”고 말했다.
D.A. 데이비슨의 길 루리아 애널리스트는 “저커버그는 창업자 모드에 들어갔고 아무도 그를 막을 수 없다”며 “메타가 AI에서 승리하려면 그들이 구축하고 있는 드림팀과 함께 다음 라운드에서 성공해야 한다”고 분석했다.
애플의 퍼플렉시티 인수 검토와 법적 리스크
애플도 AI 기술 격차를 메우기 위해 공격적으로 움직인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애플의 인수합병 결정권자들은 최근 AI 검색 스타트업 퍼플렉시티의 인수를 검토하고 있다. 아직 검토 초기 단계지만 애플과 퍼플렉시티가 여러 차례 회의를 가진 것으로 알려졌다.
애플의 퍼플렉시티 인수 시도는 일종의 검색엔진 시장 진출로 해석된다. 더 나아가 이는 구글의 반독점 재판과도 관련이 있다. 애플은 자사 기기의 웹 브라우저 사파리의 기본 검색 엔진을 구글로 설정하고 그 대가로 매년 약 200억 달러(약 27조 원)를 지불받는다. 물론 이 검색엔진은 설정에서 바꿀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 대부분은 구글 검색에 큰 불만을 갖지 않고 기본 검색 엔진을 그대로 사용한다.
그러나 미국 법무부가 이를 ‘검색 시장 독점을 위한 구글의 반독점 행위’라며 문제를 제기하고 있어, 재판 결과에 따라 애플에는 구글을 대체할 새 AI 검색 엔진이 필요해질 수 있다.
애플은 AI 관련 과장 광고로 인해 법적 분쟁에도 휘말렸다. 지난 금요일, 주주들이 애플을 상대로 증권사기 집단소송을 제기한 것이다. 주주들은 애플이 시리(Siri) 음성 비서에 고급 AI를 통합하는 데 필요한 시간을 축소해서 발표했다며, 이로 인해 아이폰 판매와 주가에 악영향을 미쳤다고 주장했다.
기술 격차의 실상 – 애플과 메타의 AI 실패
주요 빅테크 중 애플과 메타는 다른 기업들에 비해 AI 기술 개발에서 크게 뒤처지고 있다는 평가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해당 기사의 전문이 궁금하다면? 해당 기사 바로 가기
AI Campaign 눈에 띄는 AI 캠페인
[리얼 캠페인 탐구] “만약 과거의 나와 현재의 내가 경기한다면?” 나이키가 AI로 실현한 꿈의 대결
“만약 1999년의 세레나 윌리엄스와 2017년의 세레나 윌리엄스가 맞붙는다면 누가 이길까?” 테니스 팬이라면 한 번쯤 상상해봤을 법한 이 질문을, 나이키가 AI 기술로 현실에서 구현해냈습니다. 브랜드 50주년을 맞은 나이키의 ‘Never Done Evolving’ 캠페인은 단순한 기념 이벤트를 넘어 “진화는 멈추지 않는다”는 메시지를 가장 강력한 방식으로 전달했습니다. 어떻게 하나의 영상이 전 세계 170만 명의…
AI Tool 요즘 핫한 AI 툴 정보
Reports Summary 주목할 만한 리포트와 논문들
의료 진단 AI가 ‘가짜 종양’ 발견한다? 시각 AI 환각 현상의 충격적 진실
Visual hallucination detection in large vision-language models via evidential conflict 대규모 비전-언어 모델(LVLMs)이 텍스트와 이미지를 동시에 이해하는 놀라운 능력을 보여주고 있지만, 심각한 문제점이 발견되고 있다. 이는 바로 ‘시각적 환각(visual hallucination)’ 현상으로, 모델이 이미지에 존재하지 않는 객체를 묘사하거나 잘못된 공간적 관계를 인식하는 문제다. AI 환각 현상의 충격적 실태: 최신 모델도 49%…
“오늘은 내향적, 내일은 외향적?” 카이스트, AI 챗봇 ‘이중인격’ 잡는 기술 개발
Spotting Out-of-Character Behavior: Atomic-Level Evaluation of Persona Fidelity in Open-Ended Generation 한국과학기술원(KAIST) 연구진이 대형 언어모델(LLM)의 페르소나 일관성을 미세하게 평가할 수 있는 새로운 원자 단위 평가 프레임워크를 개발했다. 이 연구는 기존 평가 방법이 놓치는 미묘한 성격 불일치 현상을 정확히 탐지할 수 있는 혁신적인 접근법을 제시한다. 기존 평가로는 놓치는 AI의 ‘성격 변덕’…GPT-4o…
챗GPT 모바일 트래픽 60% 차지… 2030년 스마트 글래스 시대 온다
Ericsson Mobility Report June 2025 글로벌 통신장비 업체 에릭슨(Ericsson)이 전 세계 약 100개 상용 네트워크를 대상으로 모바일 트래픽을 측정 분석한 결과, 생성형 AI가 모바일 네트워크에 미치는 현재와 미래 영향을 담은 ‘에릭슨 모빌리티 리포트 2025년 6월호’를 발표했다. 이번 리포트는 5G 네트워크 발전과 함께 급성장하는 AI 애플리케이션이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 패턴에 어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