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가 AI 기반의 새로운 소통 도우미 서비스 ‘카나나’의 비공개 테스트(CBT)를 8일(한국 시간)부터 시작했다. 카카오 공식 보도에 따르면, 이 서비스는 개인과 그룹 채팅방에서 AI 메이트가 이용자의 대화에 맥락을 파악해 적절한 대응과 지원을 제공하는 형식으로 운영된다.
카나나는 구글 플레이와 애플 앱스토어에서 앱을 내려받은 이용자 중 가입 순서에 따라 CBT에 참여할 수 있다. 이번 테스트는 정식 출시에 앞서 서비스의 기능과 안정성을 점검하기 위한 단계로, 제한된 이용자만 참여할 수 있는 폐쇄형 테스트다. 카카오는 약 3주마다 정기 업데이트를 실시하며 이용자 피드백을 적극 반영, 서비스 완성도를 높인 후 정식 버전을 선보일 계획이다.
이번에 선보인 카나나는 기존의 AI 서비스들과 달리 개인 간 1:1 대화뿐 아니라 그룹 대화에서도 유용성을 발휘하도록 설계됐다. 단순한 응답을 넘어, AI 메이트가 대화의 맥락을 이해하고, 일정 관리나 정보 제공, 요약 정리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는 점이 특징이다. 사용자가 서비스를 자주 이용할수록 AI 메이트는 개인화 수준을 더욱 정교하게 고도화하며 사용자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간다.
서비스에는 ‘나나’와 ‘카나’라는 두 종류의 AI 메이트가 존재한다. 나나는 개인과 그룹방 모두에서 활동하며, 사용자의 정보와 사용 패턴을 기억해 개인 맞춤형 대화를 제공한다. 반면, 카나는 그룹방 전용 AI로, 조별 과제나 모임 일정 조율, 대화 요약 등 그룹 내 공동 과제를 지원하는 역할을 맡는다. 예컨대 러닝 동호회 대화방에서 마라톤 대회 일정이 논의되면 이를 자동으로 파악해 일정을 등록하고, 관련 정보를 주기적으로 리마인드해주는 식이다.
그룹방에서도 귓속말 기능을 통해 개인 메이트 나나와 1:1 대화를 나눌 수 있다. 이 기능은 뒤늦게 대화방에 합류한 사용자가 이전 대화 내용을 요약받거나, 실시간 대화 중 추가 정보를 얻는 데 유용하다. 또한, 사용자는 카카오 계정을 이용해 카나나에 가입할 수 있으며, 메이트의 말투와 성격을 ‘친구같은’, ‘전문가같은’, ‘분위기 메이커’, ‘사춘기 같은’ 등으로 직접 설정할 수 있다. 원하는 대화 스타일을 자유롭게 입력하는 것도 가능해, 고유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한다.
카카오에서 카나나 프로젝트를 이끄는 김종한 성과리더는 “AI를 통해 사람 사이의 소통을 자연스럽고 의미 있게 만드는 것이 목표”라며 “CBT 기간 동안 다양한 피드백을 반영해 더욱 정교하고 실용적인 서비스로 완성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카카오는 AI 기반의 생성형 검색 서비스 역시 준비 중이다. 이 서비스는 이용자의 요청 문맥을 분석해 최적의 정보를 요약 제공하며, 향후 카카오 생태계 전반에서 작동하는 AI 에이전트 개발에도 속도를 낼 방침이다.
해당 기사의 원문은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미지 출처: 카카오
기사는 클로드와 챗gpt를 활용해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