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News
  • 마이크로소프트, 자사 직원 대상 딥시크 사용 금지… 데이터 보안·중국 선전 우려

마이크로소프트, 자사 직원 대상 딥시크 사용 금지… 데이터 보안·중국 선전 우려

마이크로소프트, 자사 직원 대상 딥시크 사용 금지…데이터 보안·중국 선전 우려
이미지 출처: 마이크로소프트

테크크런치가 8일(현지 시간) 보도한 내용에 따르면, 마이크로소프트가 직원들에게 중국 AI 기업 딥시크(DeepSeek)의 앱 사용을 금지했다고 브래드 스미스(Brad Smith) 마이크로소프트 부회장 겸 사장이 밝혔다. 스미스 사장은 8일(현지시간) 열린 미국 상원 청문회에서 “마이크로소프트에서는 직원들이 딥시크 앱을 사용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여기서 딥시크 앱이란 데스크톱과 모바일에서 모두 이용 가능한 딥시크의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의미한다.

스미스 사장은 이러한 제한이 데이터가 중국에 저장될 위험과 딥시크의 답변이 “중국 선전”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우려에서 비롯됐다고 밝혔다. 그는 또한 마이크로소프트가 이와 같은 우려로 자사 앱 스토어에도 딥시크를 등록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많은 조직과 심지어 국가들이 딥시크에 제한을 가해왔지만, 마이크로소프트가 이러한 금지 조치를 공개적으로 발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딥시크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따르면, 이 회사는 사용자 데이터를 중국 서버에 저장한다. 이러한 데이터는 중국 정보기관과의 협력을 의무화하는 중국법의 적용을 받는다. 또한 딥시크는 중국 정부가 민감하다고 간주하는 주제들을 심하게 검열하고 있다.

스미스 사장이 딥시크에 대해 비판적인 발언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마이크로소프트는 올해 초 바이럴 현상을 일으킨 직후 자사의 애저(Azure) 클라우드 서비스에서 딥시크의 R1 모델을 제공했다. 그러나 이는 딥시크의 챗봇 앱 자체를 제공하는 것과는 다소 차이가 있다. 딥시크는 오픈소스이기 때문에 누구나 모델을 다운로드하여 자체 서버에 저장하고 데이터를 중국으로 다시 보내지 않고도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렇다고 해서 모델이 선전을 퍼뜨리거나 불안전한 코드를 생성하는 등의 다른 위험이 제거되는 것은 아니다.

상원 청문회에서 스미스 사장은 마이크로소프트가 딥시크의 AI 모델 내부에 들어가 “유해한 부작용”을 제거하기 위해 모델을 “변경”했다고 밝혔다. 마이크로소프트는 딥시크 모델에 정확히 어떤 작업을 했는지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지 않고, 테크크런치의 질문에 스미스 사장의 발언을 참조하라고 답했다.

마이크로소프트가 애저에 딥시크를 최초로 출시했을 때, 애저에 탑재되기 전에 딥시크가 “엄격한 레드팀 평가와 안전성 평가”를 거쳤다고 밝힌 바 있다. 딥시크 앱이 마이크로소프트의 코파일럿(Copilot) 인터넷 검색 챗앱과 직접적인 경쟁 관계에 있다는 점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지만, 마이크로소프트는 윈도우 앱 스토어에서 모든 채팅 경쟁자를 금지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퍼플렉시티(Perplexity)는 윈도우 앱 스토어에서 이용 가능하다. 그러나 마이크로소프트의 최대 경쟁사인 구글(Google)의 앱들(크롬 브라우저와 구글의 챗봇 제미나이(Gemini) 포함)은 웹스토어 검색에서 나타나지 않았다.

이번 조치는 AI 기술 경쟁이 심화되는 가운데 데이터 보안과 국가 간 기술 경쟁의 측면에서 주목받고 있다. 특히 앤트로픽(Anthropic)과 같은 미국 기업들과 중국 AI 기업들 간의 글로벌 AI 시장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해당 기사의 원문은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미지 출처: 마이크로소프트

기사는 클로드와 챗gpt를 활용해 작성되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 자사 직원 대상 딥시크 사용 금지… 데이터 보안·중국 선전 우려 – AI 매터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