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News
  • 오픈AI, 서울에 한국 지사 설립 발표… “AI 인프라 협력 전초기지 삼겠다”

오픈AI, 서울에 한국 지사 설립 발표… “AI 인프라 협력 전초기지 삼겠다”

OpenAI Opens First Official Office in South Korea, Launches Full-Scale AI Industry Cooperation
Image Source: OpenAI

오픈AI가 한국에 첫 번째 공식 사무소를 설립하며 인공지능(AI) 산업 협력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지디넷 코리아가 26일(한국 시간) 보도한 내용에 따르면, 세계 AI 기술을 선도하는 오픈AI가 서울을 거점으로 삼고, 한국 정부 및 산업계와 긴밀한 협력을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26일 서울 포시즌스호텔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디지털특별위원회와의 간담회에서 오픈AI는 한국 법인 등록을 이미 마쳤으며, 서울에 사무소를 개설한다고 공식 발표했다. 이 자리에는 민주당 임문영 디지털특별위원장과 채보건 전략기획 담당 등 당 핵심 인사들이 참석했고, 오픈AI 측에서는 제이슨 권 최고전략책임자(CSO), 올리버 제이 국제비즈니스 총괄, 샌디 쿤바타나간 아시아태평양 정책 총괄 등이 참석해 구체적인 계획을 공유했다.

오픈AI는 이번 서울 사무소 개설이 단순한 해외 지사 설립이 아닌, 한국형 AI 생태계와의 전략적 협업을 위한 거점이라고 강조했다. 제이슨 권 CSO는 “한국은 반도체부터 애플리케이션에 이르는 풀스택 역량을 갖춘 기술 강국”이라며 “우리는 한국의 산업·교육·정책 분야와 협력해 책임 있는 AI 인프라 구축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오픈AI는 기술, 정책, 파트너십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서울 사무소 채용을 진행 중이며, 수개월 내로 입지와 조직 구성을 마무리할 예정이다. 권 CSO는 “AI 인프라가 결국 각국의 기술 주권과 경제적 이익을 좌우하게 될 것”이라며 “인프라는 곧 운명”이라고 말했다. 그는 한국의 강점으로 △삼성전자·SK하이닉스 등 반도체 기업, △우수한 인재·교육·R&D 역량, △네이버·카카오·크래프톤 등 응용기술 기업의 활발한 AI 활용을 꼽았다.

오픈AI는 최근 ‘오픈AI 포 컨트리스(OpenAI for Countries)’ 프로그램을 출범시키며 각국 정부 및 시민사회와 협력해 현지화된 AI 모델과 생태계를 공동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단순한 기술 수출이 아닌, 각국 상황에 맞춘 맞춤형 AI 인프라 협력 방안을 뜻한다.

한국 기업들과의 협력도 이미 활발하다. 카카오는 오픈AI 기술을 자사 서비스에 통합했고, 크래프톤은 게임 개발 및 직원 생산성 향상에 챗GPT를 활용하고 있다. KDB산업은행은 스타트업 생태계 조성을 위해 업무협약을 체결했으며, SK텔레콤은 마케팅 및 유통 파트너로 협업 중이다.

권 CSO는 “AI 생태계의 자생적 발전을 위해서는 개발자 생태계에 대한 투자가 필수”라며 “서울 사무소는 오픈AI가 한국 시장에 책임 있게 참여하고 함께 성장해 나가기 위한 첫걸음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오픈AI의 이번 서울 진출은 한국이 글로벌 AI 주도권 경쟁에서 기술 중심국으로 입지를 공고히 하는 데 중요한 분기점이 될 전망이다. 정부와 기업, 시민사회가 AI를 둘러싼 국제 경쟁에서 공동의 전략과 투자로 대응할 시점이다.

해당 기사의 원문은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




오픈AI, 서울에 한국 지사 설립 발표… “AI 인프라 협력 전초기지 삼겠다” – AI 매터스 l AI Matt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