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스비어가 발표한 ‘미래의 의사 2025’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의료진의 48%가 일할 때 AI 도구를 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24년 26%에서 거의 두 배 늘어난 수치다. 109개국 2,206명의 의료진을 조사한 결과, AI가 병원 현장에서 빠르게 자리 잡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아시아 지역 의료진의 56%와 중국 의료진의 71%가 일할 때 AI를 쓰고 있어 높은 사용률을 보였다. 반면 미국(36%)과 영국(34%)은 상대적으로 낮은 사용률을 기록했다. AI 도구를 일에 쓰는 의료진 중 97%는 챗GPT나 구글 제미니 같은 일반용 AI 도구를 썼고, 76%는 의료 전용 AI 도구를 쓴 것으로 조사됐다.

시간 절약과 정확한 진단, AI가 주는 가장 큰 도움
현재 AI 도구를 쓰는 의료진들은 시간 절약(57%), 업무 능력 향상(53%), 환자 치료 방법 선택 확대(53%) 등의 좋은 효과를 보고 있다고 답했다. 특히 일본 의료진들은 66%가 AI가 시간을 절약해 준다고 답해 평균보다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약물끼리 부딪히는 문제를 찾는 일에서 AI 활용도가 가장 높았다. 의료진의 30%가 이미 이 목적으로 AI를 쓰고 있으며, 추가로 59%가 쓰고 싶다고 답했다. 엑스레이나 CT 같은 의료 영상을 분석하는 일에서는 21%가 현재 AI를 쓰고 있고, 60%가 앞으로 쓰고 싶다고 밝혔다. 하지만 치료 방법을 결정하는 일에서는 16%만이 현재 AI를 쓰고 있어, 48%가 쓰고 싶어 하는 것과는 차이를 보였다.
환자 너무 많고 시간 부족… AI가 해답 될까
조사 결과 의료진들이 겪는 가장 큰 문제는 시간 부족으로 나타났다. 28%의 의료진이 좋은 치료를 할 충분한 시간이 없다고 답했으며, 이들 중 74%는 너무 많은 환자 수가 주요 이유라고 지적했다. 또한 69%의 의료진이 2년 전보다 더 많은 환자를 보고 있다고 답했다.
의료진의 지침 문제도 심각한 수준이다. 47%의 의료진이 피로 때문에 환자 치료 능력이 떨어졌다고 인정했다. 31%는 앞으로 몇 년 안에 현재 일을 그만둘 생각이 있다고 답해, 전 세계 의료진 부족 문제가 계속되고 있음을 보여줬다. 이는 2023년 37%에서 조금 나아진 수치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2-3년 뒤엔 AI로 의료계 완전히 바뀔 것
의료진들은 앞으로 2~3년 안에 AI가 의료계에 가져올 좋은 변화에 대해 희망적으로 보고 있다. 70%가 AI가 시간을 절약해 줄 것이라고 예상했으며, 58%는 더 빠른 진단, 54%는 더 정확한 진단이 가능할 것이라고 답했다. 또한 55%는 AI가 환자 치료 결과를 더 좋게 만드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흥미롭게도 56%의 의료진은 앞으로 2~3년 안에 AI가 모든 의료 영상을 분석해서 이상한 부분을 찾아낼 것이라고 예상했다. 반면 38%는 대부분의 환자가 병원에 오기보다는 온라인 AI 도구를 써서 스스로 병을 진단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41%의 의료진은 AI를 쓰는 의료진이 그렇지 않은 의료진보다 더 좋은 치료를 해줄 것이라고 믿고 있다.
FAQ
Q: AI 도구를 쓰는 의료진들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무엇인가?
A: 믿을 수 있고 투명한 정보가 가장 중요한 요소로 나타났다. 68%의 의료진이 AI가 자동으로 참고 자료를 보여주는 기능이 AI 도구에 대한 믿음을 높일 것이라고 답했으며, 65%는 입력한 정보의 비밀 보장을 중요하게 생각한다고 답했다.
Q: 현재 AI 도구를 가장 많이 쓰는 의료 분야는 어디인가?
A: 약물끼리 부딪히는 문제를 찾는 일이 30%로 가장 높았고, 환자에게 보내는 편지 쓰기(23%), 진료 기록 작성(22%), 의료 영상 분석(21%) 순으로 나타났다. 서류 작업 관련 AI 활용이 많은 편이다.
Q: 지역별로 AI 사용률에 차이가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A: 아시아 지역이 높은 사용률을 보이는 반면, 북미와 유럽 지역은 상대적으로 신중한 접근을 보이고 있다. 이는 나라별 규제, 의료 시스템의 차이, 그리고 AI 기술에 대한 믿음 수준의 차이 때문으로 분석된다.
해당 기사에 인용된 리포트 원문은 엘스비어에서 확인 가능하다.
리포트 명: Clinician of the Future 2025
이미지 출처: 이디오그램 생성
해당 기사는 챗GPT와 클로드를 활용해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