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AI 쓰면 시간 절약? 직장인 77% “오히려 일만 늘었다”

AI 쓰면 시간 절약? 직장인 77% "오히려 일만 늘었다"
이미지 출처: 이디오그램 생성

생성형 AI 도구를 도입한 기업들이 예상치 못한 문제에 직면했다. 직원들이 AI를 적극 활용하고 있지만 실제 성과는 오히려 감소하고 있다는 것이다.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Harvard Business Review)가 25일(현지 시각) 보도한 내용에 따르면, MIT 미디어 랩(MIT Media Lab) 최근 보고서에서 조직의 95%가 AI 기술 투자에서 측정 가능한 수익을 얻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 완전히 AI 주도 프로세스를 운영하는 기업 수는 지난해 두 배로 증가했고, 직장 내 AI 사용도 2023년 이후 두 배 늘었지만 실질적 성과는 나타나지 않고 있다.

베터업 랩스(BetterUp Labs)와 스탠퍼드 소셜 미디어 랩(Stanford Social Media Lab)은 이 현상을 ‘워크슬롭(workslop)’이라고 명명했다. 워크슬롭은 AI가 생성한 낮은 품질의 콘텐츠로, 장황하고 반복적인 보고서, 부정확한 코드, 과장된 마케팅 자료 등이 포함된다. 표면적으로는 전문적으로 보이지만 실질적 가치는 제공하지 못한다.

연구진이 2,000명 이상의 지식 근로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 충격적인 결과가 나왔다. AI 도구를 사용하는 직원의 77%가 오히려 생산성이 감소했다고 답했다. AI로 시간을 절약했다고 답한 사람들조차 실제로는 생산성 손실을 경험했다.

문제는 동료들이 AI 생성 콘텐츠를 검토하고 수정하는 데 시간을 소비하면서 발생한다. AI를 사용하는 직원들은 하루 평균 업무 시간의 절반 가량을 워크슬록을 생성하고 처리하는 데 쓰고 있다. 또한 AI 도구를 더 많이 사용할수록 생산성 손실도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명확한 품질 기준 수립, AI 사용에 대한 투명성 확보, 적절한 교육 제공 등의 대응 전략을 제시했다. 생성형 AI의 잠재력은 분명하지만, 신중한 접근 없이는 조직 전체의 효율성을 오히려 저해할 수 있다는 경고다.

해당 기사의 원문은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에서 확인 가능하다.

이미지 출처: 이디오그램 생성




AI 쓰면 시간 절약? 직장인 77% “오히려 일만 늘었다” – AI 매터스 l AI Matt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