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한국, 일본보다 AI 활용 2배 가까이 앞서… “습관화 단계 진입”

한국, 일본보다 AI 활용 2배 가까이 앞서… "습관화 단계 진입"
이미지 출처: PDF Guru

글로벌 문서 플랫폼 PDF Guru(PDF 구루)가 한국과 일본 직장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AI 활용 실태 조사에서 한국이 일본보다 AI 사용 경험과 학습 의지 모두에서 크게 앞선 것으로 나타났다. PDF Guru는 한국의 틸리온 프로, 일본의 Freeasy24와 협력해 양국 직장인 대상 비교 조사를 진행했다고 13일(한국 시각) 밝혔다. 조사 결과 AI 도구를 한 번도 사용해 본 적 없다는 응답은 한국 34.8%, 일본 48.6%로 일본이 14%포인트 이상 높았다. 반면 몇 번 사용해 봤다는 응답은 한국 24.2%, 일본 18%로, 한국 직장인들이 첫 체험을 넘어 실질적 활용 단계로 진입했다는 분석이다.

  AI  2


구체적인 AI 도구별 사용률에서도 격차가 뚜렷했다. 챗GPT 사용률은 한국 36.9%, 일본 30.1%였으며, 제미나이(Gemini)는 한국 20.2%, 일본 14.7%를 기록했다. 기타 AI 도구 활용률도 한국 7.9%, 일본 2.4%로 3배 이상 차이를 보였다. 일본은 ‘잘 모르겠다’는 응답이 46.1%로 한국(30.8%)보다 15%포인트 이상 높아 AI 인지도 자체에서도 격차가 확인됐다.

AI 활용 목적에서는 두 나라의 차이가 더욱 명확히 드러났다. 업무 활용 비율은 비슷했지만, 한국은 개인적 활용(27.9% vs 17.3%), 단순 체험(24.5% vs 9.2%), 학습 목적(11.8% vs 7.7%) 등 업무 외 영역에서 일본을 크게 앞섰다. 이는 한국이 AI를 생산성 도구를 넘어 일상 속 실험과 자기 계발 도구로 받아들이고 있음을 보여준다.

  AI  2


AI가 직업과 사회에 미칠 영향에 대한 인식도 달랐다. ‘AI가 새로운 기회를 가져올 것’이라는 응답은 한국 35.4%, 일본 27.5%였으며, 향후 5년 내 중간 이상의 변화를 예상한다는 답변도 한국 38.5%, 일본 22.4%로 한국이 더 낙관적이었다. AI를 ‘꼭 배우고 싶다’는 응답은 한국 17.3%, 일본 12.5%였고, ‘이미 알고 있다’는 답변도 한국 10%, 일본 5.1%로 학습 의지와 친숙도 모두 한국이 우위를 보였다.

PDF Guru는 “한국은 이미 AI 활용에서 체험을 넘어 습관화 단계로 빠르게 진입하고 있다”며 “기업과 기관은 단순한 인식 제고를 넘어 PDF 요약 AI와 같은 실무형, 학습형 솔루션 제공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설문조사의 자세한 결과와 그래프는 PDF Guru 공식 블로그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국, 일본보다 AI 활용 2배 가까이 앞서… “습관화 단계 진입” – AI 매터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