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R 테크 기업 원티드랩(Wantedlab)이 대규모 언어 모델(LLM, Large Language Model) 기반의 ‘채용 에이전트’를 출시하며 국내 채용 시장에 AI 에이전트 기반 자동화 인재 탐색 방식을 본격 도입했다.
원티드랩은 21일 이같은 내용을 발표하며 이번 서비스가 기업의 채용 과정에서 발생하는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획됐다고 밝혔다. 기업들은 적합한 인재를 찾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리고, 학력·경력·직급·회사 등 다양한 조건을 일일이 확인해야 하는 부담을 안고 있다. 기존 검색 방식만으로는 후보자의 잠재력이나 소프트 스킬을 충분히 평가하기 어려워 채용 담당자의 업무 효율과 의사결정 속도에도 한계가 있었다.
원티드랩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복잡한 필터 설정 없이 자연어로 조건을 입력하면 AI가 자동으로 인재를 탐색하고 평가·분석하는 서비스를 구현했다. 이를 통해 기업 담당자는 반복적이고 시간이 많이 걸리는 탐색 업무를 줄이고 전략적·고부가가치 업무에 집중할 수 있다.
채용 에이전트는 채용 담당자의 업무 방식을 완전히 바꾸며 인재 탐색 과정을 직관적이고 효율적으로 단축한다. 채용 담당자는 복잡한 검색 문법이나 수십 개의 필터를 조합할 필요 없이 자연스러운 문장으로 원하는 인재를 AI에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액트(React) 경험 3년 이상, 타입스크립트(TypeScript) 가능,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뛰어나며 새로운 기술 학습에 적극적인 프론트엔드 개발자를 찾고 있다”라고 입력하면 AI가 즉시 조건을 이해하고 최적의 후보자를 탐색한다.
최적의 인재 확보를 위해 두 가지 탐색 방식을 제공한다. 기본 탐색은 후보자를 빠르고 유연하면서도 폭넓게 검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고급 탐색은 AI가 후보자의 역량 및 경험을 판단하고 추론해 보다 적합한 인재를 제시하고 그 추천 사유를 상세하게 보여준다.
AI는 단순 경력이나 기술 조건을 넘어 자기소개서와 프로젝트 경험 같은 정성적 데이터까지 분석해 후보자의 잠재 역량까지 평가한다. 검색 과정은 연속적인 대화형 상호작용으로 진행되며, 사용자는 AI가 생성한 조건과 필터를 확인하고 수정할 수 있어 투명하고 신뢰할 수 있는 탐색 경험을 제공한다.
채용 에이전트는 단순 반복 업무를 자동화할 뿐만 아니라 채용 담당자의 전략적 역할을 확장한다. AI가 탐색과 초기 매칭을 담당하는 동안 채용 담당자는 후보자 관계 구축, 인터뷰 심화, 인재 설득 등 고부가가치 업무에 집중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기업은 채용 속도와 품질을 동시에 높이고 담당자는 보다 전략적이고 창의적인 업무에 더 많은 시간을 투자할 수 있다.
황리건 원티드랩 플랫폼 총괄이사는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AI 에이전트 서비스가 등장하며 이를 활용하는 사람들의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고 있다”며 “자사의 AI 에이전트 기술력을 바탕으로 HR 분야의 혁신적인 AI 에이전트를 지속적으로 발전시켜서 인사담당자의 생산성을 높이고 기업의 인재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자세한 내용은 원티드랩 공식 발표자료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