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AI가 학생 결석 예측하고 영어 회화 가르친다…일본 교육 현장의 인공지능 실험

AI가 학생 결석 예측하고 영어 회화 가르친다...일본 교육 현장의 인공지능 실험
이미지 출처: 이디오그램 생성

일본에서 인공지능(AI)이 교육 현장에 속속 도입되고 있다. 학교를 빠질 위험이 있는 학생을 미리 찾아내는 것부터 영어 회화 연습, 원폭 생존자의 증언 보존까지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도쿄 인근 사이타마현 도다시는 2023년 AI를 활용해 학생들의 결석 가능성을 예측하고 선제적 지원을 제공하는 시범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AI는 출결 기록과 건강검진 자료 등을 학습해 각 학생에 대한 수치 예측을 생성하고, 교사들의 판단을 돕는다.

컴퓨터 화면에는 학생 이름과 함께 빨강, 분홍, 주황, 노랑 등 색깔로 구분된 위험도가 표시된다. 이는 학생이 수업을 빠질 가능성을 나타낸다. AI는 출석, 지각, 학업 설문조사 결과, 건강검진, 보건실 방문 기록, 따돌림 기록 등 개인정보를 분석하고, 이전에 결석했던 학생들의 패턴을 참고해 이런 점수를 산출한다.

시범 운영 기간 동안 AI는 1,193명의 학생을 위험군으로 분류했다. 이 중 학교 측은 265명에게 우선적으로 지원을 제공하라는 권고를 받았다. 한 초등학교에서는 AI 알림 덕분에 그렇지 않았다면 놓쳤을 10명의 학생을 발견해 추가 도움을 제공했다. 시범 사업은 2023 회계연도에 종료됐다.

예측 정보에 대한 접근은 교장과 관리자로 제한됐다. 도다시 교육자문위원회에 참여하는 게이오대학교 나카무로 마키코 교수는 이 시도가 유망하다고 평가하면서도 기술에 지나치게 의존하지 말아야 한다고 경고했다.

그는 “객관적 데이터를 연결함으로써 결석을 예방할 가능성이 있다”면서도 “하지만 개인정보 보호 우려를 해결해야 하고, 학부모와 학생들에게 명확한 설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도다시는 또한 AI 결과에 기반한 차별이나 불공정한 처우를 금지하는 지침도 발표했다.

이 계획은 결석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될 수 있지만, 기술이 아이들을 수치로 평가하도록 허용한다는 민감한 문제도 제기한다. 바쁜 교사들에게는 그렇지 않았다면 눈에 띄지 않았을 결석 위험 학생들을 찾아내는 데 유용할 수 있다.

일부 지방자치단체는 학대나 따돌림에 취약한 아동을 식별하는 AI도 시험하고 있다. 하지만 교사들처럼 AI도 완벽하지 않으며 경고 신호를 놓칠 수 있다. 전문가들은 AI가 인간의 판단으로 보완돼야 하며, 학부모와 아동에게 명확한 설명이 제공된 후에만 사용돼야 한다고 강조한다.

여러 대학이 현재 AI를 영어 회화 파트너로 활용하고 있다. 와세다대, 간사이대, 추오대, 메이지대, 규슈대가 이 시스템을 도입했으며, 기후현의 중학교들도 마찬가지다.

도쿄 소재 스타트업 에큐메노폴리스(Equmenopolis)가 개발한 이 AI는 학생들과 약 20분간 대화하며 문법, 어휘, 발음, 응답 시간, 심지어 표정까지 분석한다. 6점 척도로 성과를 채점하고 피드백을 제공한다.

한 세션에서 AI는 “추천할 영화 있어?”라고 물었다. 대학 입시 준비생이 영어로 답하자 AI는 자연스럽게 후속 질문을 던졌다. 학생은 나중에 사람에게 말하는 것보다 AI에게 말할 때 덜 긴장했다고 밝혔다.

에큐메노폴리스 대표이자 와세다대 객원연구원인 마쓰야마 요이치는 이 시스템이 오랜 교실 과제를 해결한다고 말했다. 그는 “인간 교사가 모든 학생과 대화하기는 어렵다”며 “AI는 학생들이 자신의 수준에서 연습할 수 있게 해준다”고 설명했다.

옹호자들은 이 기술이 일본 학생들이 영어에서 가장 약한 부분 중 하나인 말하기 자신감을 극복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말한다.

가나가와현 정부는 기억 보존을 돕기 위해 AI를 사용하고 있다. 2025년 3월 가나가와현은 요코하마의 가나가와 평화기념관에서 ‘AI 스토리텔러 시스템’을 시범 운영할 예정이다.

이 시스템은 방문객들이 질문하고 원폭 생존자들의 녹음된 답변을 들을 수 있게 한다. 93세 나가사키 생존자 니시오카 히로시의 증언은 약 130개 주제로 나뉘었다. 질문을 받으면 AI가 가장 관련 있는 녹음된 답변을 선택해 재생한다.

시연에서 초등학생들이 “무섭지 않았나요?” “전쟁 중 생활은 어땠나요?”라고 물었다. AI는 니시오카 본인의 말과 영상 클립으로 답했다. 11세 참가자 한 명은 “놀랐어요, 진짜 사람과 대화하는 것 같았어요”라고 말했다.

니시오카는 폭심지에서 약 3킬로미터 떨어진 곳에서 13세에 원폭에 피폭됐다. 그는 이 프로젝트가 자신의 기억을 살아있게 유지하기를 바란다. 그는 “생존자가 점점 줄어들고 있다”며 “아직 할 수 있을 때 정확한 증언을 남기고 싶다”고 말했다.

가나가와현 정부는 이 시스템을 학교에 제공하고 기념관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1945년 2차 세계대전 말기에 원폭으로 파괴된 또 다른 도시인 히로시마시 정부도 평화기념박물관을 위한 유사한 장치를 개발하고 있다.

개발자들은 AI가 증언자들이 한 말을 절대 만들어내거나 변경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한다. 실제 생존자 증언만 재생할 수 있으며, 이는 주제의 민감성을 존중하기 위해 설계된 안전장치다.

자세한 내용은 재팬투데이에서 확인할 수 있다.




AI가 학생 결석 예측하고 영어 회화 가르친다…일본 교육 현장의 인공지능 실험 – AI 매터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