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가 크리에이터의 얼굴과 목소리를 무단으로 사용한 AI 생성 콘텐츠를 탐지하고 삭제할 수 있는 기술을 공식 출시했다. 테크크런치(TechCrunch)에 따르면, 유튜브는 21일(현지 시각) 파트너 프로그램 자격을 갖춘 크리에이터를 대상으로 초상권 탐지 기술(likeness-detection technology)을 정식 배포했다. 올해 초부터 파일럿 테스트를 진행한 끝에 첫 번째 정식 배포가 이뤄졌다.
이 기술은 크리에이터의 얼굴과 목소리를 활용한 AI 생성 콘텐츠를 식별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크리에이터들이 동의하지 않은 제품 홍보나 허위 정보 유포 등 초상권 악용을 방지하기 위해 개발됐다. 실제로 일렉크로우(Elecrow)라는 기업이 유튜버 제프 기얼링(Jeff Geerling)의 목소리를 AI로 복제해 자사 제품을 홍보한 사례가 있었다.
크리에이터는 ‘초상권(Likeness)’ 탭에서 QR 코드를 스캔해 신원 확인 절차를 거친 후 이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유튜브가 접근 권한을 부여하면 탐지된 영상을 확인하고 삭제 요청이나 저작권 신고를 진행할 수 있다.
유튜브는 지난해 크리에이티브 아티스츠 에이전시(CAA)와 협력해 유명인과 크리에이터의 AI 생성 초상권 콘텐츠 식별을 지원하기 시작했으며, 지난 4월에는 AI 생성 복제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NO FAKES 법안(NO FAKES Act)’에 대한 지지 입장을 밝힌 바 있다.
해당 기사의 원문은 테크크런치에서 확인 가능하다.
이미지 출처: 유튜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