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AI(OpenAI)가 기업가치 최대 1조 달러 규모의 기업공개(IPO)를 준비하고 있다고 로이터가 29일(현지 시각) 보도했다. 실현될 경우 역대 최대 규모의 상장 중 하나가 될 전망이다. 이 사안에 정통한 소식통 3명에 따르면, 오픈AI는 이르면 2026년 하반기 증권 규제 당국에 상장 신청서를 제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예비 논의에서 회사는 최소 600억 달러 규모의 자금 조달을 고려했으며, 실제로는 이보다 더 많은 금액이 될 가능성이 크다. 소식통들은 논의가 초기 단계여서 수치와 시기를 포함한 계획이 사업 성장과 시장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고 전했다.
사라 프라이어(Sarah Friar)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일부 관계자들에게 2027년 상장을 목표로 한다고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일부 자문들은 2026년 말쯤 더 빠른 상장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오픈AI 대변인은 “IPO는 우리의 초점이 아니기 때문에 날짜를 정할 수 없다”며 “우리는 지속 가능한 사업을 구축하고 모든 사람이 인공일반지능(AGI)의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미션을 발전시키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IPO 준비는 챗GPT 개발사가 마이크로소프트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는 복잡한 구조조정을 완료한 후 공개 시장 진출에 새로운 긴박감을 갖게 됐음을 보여준다. IPO는 더욱 효율적인 자금 조달의 문을 열고 공개 주식을 활용한 대규모 인수합병을 가능하게 해, 샘 알트만(Sam Altman) CEO가 AI 인프라에 수조 달러를 투자하려는 계획에 자금을 댈 수 있게 한다.
회사 내부 사정에 정통한 소식통들에 따르면, 오픈AI는 연말까지 연간 매출이 약 20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지만 5,000억 달러 가치의 회사 내부에서 손실도 늘어나고 있다. 알트만은 화요일 라이브스트림에서 상장 가능성에 대해 언급했다. 그는 “우리가 필요로 하는 자본 규모를 고려하면 상장이 가장 가능성 높은 길이라고 말하는 게 공정하다”고 밝혔다.
오픈AI는 2015년 비영리 조직으로 출발했다. 몇 년 후 회사는 구조를 재편해 비영리 조직이 영리 부문을 감독하고 통제하도록 했다. 비영리 조직의 주요 목표는 오픈AI가 전통적인 기업처럼 이익을 우선시하기보다 AI 기술을 안전하게 개발하도록 보장하는 것이었다. 이번 주 오픈AI는 다시 한 번 구조를 개편했다. 여전히 비영리 조직의 통제를 받지만, 현재 오픈AI 파운데이션(OpenAI Foundation)으로 불리는 비영리 조직은 오픈AI 그룹(OpenAI Group)의 지분 26%를 보유하고 회사가 특정 목표를 달성하면 추가 주식을 받을 수 있는 워런트를 갖게 됐다. 이 변화로 비영리 조직은 오픈AI의 재무적 성공에 상당한 이해관계자가 됐다.
성공적인 상장은 소프트뱅크(SoftBank), 스라이브 캐피탈(Thrive Capital), 아부다비의 MGX 같은 투자자들에게 큰 승리가 될 것이다. 큰 후원자 중 하나인 마이크로소프트는 130억 달러를 투자한 후 현재 약 27%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이러한 논의는 AI가 공개 시장에서 급등세를 이끌고 있는 가운데 나왔다. 올해 초 AI 클라우드 기업 코어위브(CoreWeave)는 230억달러 가치로 상장했으며 이후 약 3배 상승했다. 수요일 엔비디아(Nvidia)는 글로벌 AI 붐의 중심에서 강세를 이끌며 시가총액 5조달러를 달성한 첫 번째 기업이 됐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앞서 오픈AI가 이르면 2027년 상장할 가능성을 처음 보도한 바 있다.
해당 기사의 원문은 로이터에서 확인 가능하다.
이미지 출처: 오픈A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