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대학교 신촌캠퍼스에서 진행된 한 교양수업 중간고사에서 대규모 부정행위가 적발돼 학내가 충격에 휩싸였다. 특히 상당수 학생이 챗GPT 등 인공지능을 활용해 부정행위를 저지른 것으로 알려지면서 대학 교육의 신뢰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문제가 된 수업은 3학년 대상 ‘자연어처리(NLP)와 챗GPT’ 강의로, 약 600명이 수강 중이다. 수업과 시험은 모두 비대면으로 진행됐으며, 중간고사는 지난달 15일 온라인으로 치러졌다. 담당 교수는 부정행위 방지를 위해 응시자 전원에게 시험 내내 얼굴과 손, 컴퓨터 화면이 모두 보이도록 영상을 촬영해 제출할 것을 요구했다.
그러나 일부 학생은 촬영 각도를 교묘히 조정하거나, 화면에 여러 창을 띄우는 방식으로 감시를 회피했다. 이 과정에서 다수가 챗GPT를 활용한 것으로 드러났다. 교수는 부정행위 정황을 포착한 뒤 자수를 유도하며 “자진 신고 시 중간고사만 0점 처리하겠다”고 공지했다.
실제 부정행위 규모는 자진 신고를 통해 드러났다. 대학생 커뮤니티 ‘에브리타임’의 연세대 신촌캠퍼스 게시판에는 “양심껏 투표해보자”는 글과 함께 설문이 게시됐고, 총 353명 중 190명이 “컨닝했다”고 응답했다. 해당 수치는 전체 수강 인원의 3분의 1에 육박한다.
이번 사태는 AI 시대의 교육 윤리와 평가 방식에 근본적인 의문을 던진다. 전문가들은 제재보다 제도 정비와 학습자 윤리 교육이 시급하다고 지적한다.
이미지 출처: 이디오그램 생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