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AI 코리아가 13일(한국 시각) 서울에서 국내 개발자 행사 ‘데브데이 익스체인지 서울(DevDay Exchange Seoul)’을 개최했다. 스타트업을 운영하는 개발자들이 대거 참여한 가운데, 행사에서는 에이전트 빌더, 에이전트킷, 코덱스 SDK, agents.md 문서 작성 등이 소개됐다.
행사에서는 에이전트킷과 에이전트 빌더를 통해 다양한 워크플로우를 쉽게 구축할 수 있지만, 기능이 의도대로 반응하는지 평가하지 않으면 실무에서 큰 리스크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 반복적으로 언급됐다.
또한, 한국 문화에 맞는 커머스 추천 시스템을 예시로 한 에이전트를 실제 채팅 인터페이스에 연결하는 챗킷(ChatKit) 시연도 진행됐다. 김치를 음식에 페어링해 추천하는 데모를 통해 이러한 기능들이 실제 사용자 경험과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보여줬다.
질의응답 세션에서는 다양한 주제가 다뤄졌다. 챗GPT의 한국어 품질 향상을 위한 데이터 전략에 대한 질문에 오픈AI 측은 데이터 전처리와 학습 단계부터 신경 쓰고 있으며, 품질 좋은 한국어 학습에 계속 투자할 계획이라고 답했다.
무료 플랫폼 사업자의 수익 모델에 대한 질문에는 현재 광고 없이 무료 제공에 집중하고 있으며, 향후 챗GPT 내에서 앱 마켓플레이스를 운영해 개발자들이 만든 서비스가 배포되고 수익화될 수 있는 구조를 계획 중이라고 밝혔다.
도메인 특화 서비스에 대해서는 오픈AI가 범용 AI의 성능 개선에 더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특정 영역의 개발은 파트너 생태계와 함께 확장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김경훈 오픈AI 코리아 대표는 “이번 행사를 계기로 오픈AI는 한국 개발자 커뮤니티와의 협업을 더 강화하고, 한국 개발자들이 글로벌 무대에서 더 많은 혁신을 만들어 나갈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라고 말했다.
이미지 출처: 오픈AI 코리아





![[AI 연구실] 챗GPT ‘아틀라스’로 업무 자동화 어디까지 가능할까?](https://aimatters.co.kr/wp-content/uploads/2025/11/AI-연구소-실험-썸네일.jpe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