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 AI 냉전 격화 속 미국과 중국 사이 딜레마 직면… 누굴 선택해야 하나

Image

호주가 중국과 미국 간 인공지능(AI) 패권 경쟁 속에서 어려운 선택을 강요받고 있다. 중국은 호주와의 AI 파트너십을 제안했지만, 전문가들은 국가 안보상 이를 거부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중국 대사 샤오치안(Xiao Qian)은 호주 파이낸셜 리뷰에 기고한 글에서 중-호 자유무역협정(FTA) 확대에 AI를 포함시킬 가능성을 제기했다. 이는 앤서니 알바니즈 호주 총리의 베이징 방문을 며칠 앞두고 나온 제안이다.

중국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전쟁으로 미국 시장 접근이 어려워지자 AI, 고급 로봇공학, 녹색 에너지 전환 등 새로운 분야에서 “고품질 발전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중국의 딥시크(DeepSeek) 대형 언어 모델은 오픈AI의 챗GPT보다 훨씬 적은 비용으로 개발되어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지정학적 현실은 중국이 호주의 신뢰할 만한 AI 파트너가 되기 어렵게 만들고 있다. 호주 내무부는 이미 데이터 프라이버시와 보안 우려로 중국 소유의 틱톡을 정부 기기에서 금지했으며, 올해 2월에는 딥시크도 금지 대상에 포함시켰다.

2018년 턴불 정부는 중국 공산당 및 인민해방군과 깊은 연관이 있는 화웨이의 호주 5G 네트워크 구축 참여를 금지했다. 이로 인해 중-호 관계가 악화되기 시작했고, 2020년 중국은 호주의 보리, 와인, 쇠고기, 석탄, 목재, 랍스터 수출에 200억 달러 규모의 무역 금지 조치를 취했다.

한편 미국도 문제가 되고 있다. 오픈AI 수석 이코노미스트 로니 채터지는 지난주 캔버라를 방문해 호주 정부에 AI “청사진”을 제시했다. 하지만 메타의 마크 저커버그, 아마존의 제프 베조스, 오픈AI의 샘 알트먼 등 빅테크 거물들이 트럼프의 “미국 우선” 의제에 정치적으로 동조하면서 자신들의 사업 이익을 추구하고 있다.

이는 16세 미만 소셜미디어 금지법과 뉴스 미디어 협상 코드 등 호주의 빅테크 규제 정책을 복잡하게 만들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호주의 디지털 규제를 미국 기술 기업에 대한 차별적 무역 장벽으로 보고 있어, 호주 수입품에 대한 10% 관세 해제 협상도 어려워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국가 안보상 호주 정부가 중국의 AI 파트너십 제안을 정중히 거부해야 한다고 강조하면서도, 트럼프-빅테크 동맹이 호주 주권에 가하는 다른 종류의 위협에 대해서도 경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자세한 내용은 호주 파이낸셜 리뷰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미지 출처: 챗GPT 생성




호주, AI 냉전 격화 속 미국과 중국 사이 딜레마 직면… 누굴 선택해야 하나 – AI 매터스 l AI Matt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