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AI가 챗GPT에 대화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프로젝트(Projects)’ 기능을 추가했다. 케빈 오픈AI 제품 책임자는 이 기능이 플러스와 프로, 팀즈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순차적으로 출시된다고 밝혔다.
새로운 프로젝트 기능을 통해 사용자들은 프로젝트별로 필요한 파일을 업로드하고 맞춤 지침을 설정할 수 있게 됐다. 프로젝트 내에서는 검색과 캔버스 기능도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다. 기존에 진행했던 대화들도 프로젝트로 쉽게 이동할 수 있으며, 드래그앤드롭 방식으로 간편하게 관리가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는 프로젝트 제목을 원하는 대로 편집하고 색상을 선택해 사이드바를 자신만의 스타일로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다.
실제 활용 사례
- 시크릿 산타 프로젝트 관리
이 기능을 활용하면 시크릿 산타 행사를 위한 설문 결과, 규칙, 예산, 행사 세부사항 등의 파일을 하나의 프로젝트에 모아둘 수 있다. AI는 이 정보를 바탕으로 참가자들을 무작위로 매칭하고 적절한 선물 아이디어를 제안한다. 웹 검색 기능을 통해 더욱 구체적인 선물 추천도 받을 수 있으며, 캔버스 기능을 활용해 참가자들에게 보낼 이메일도 손쉽게 작성할 수 있다.
- 홈 메인터넌스 관리
사용자들은 집안 관리 로그와 스마트홈 설정, 각종 가전제품 관련 문서를 프로젝트에 저장해둘 수 있다. AI는 저장된 정보를 바탕으로 적절한 유지보수 시기를 알려주고 필요한 매뉴얼을 제공한다. 대화형 인터페이스를 통해 필요한 정보를 쉽고 빠르게 찾아볼 수 있다.
- 웹사이트 개발 프로젝트
웹사이트 개발 시에는 이력서, 소셜 링크, 추천서 등 필요한 개인 정보 파일을 프로젝트에 업로드하여 관리할 수 있다. 템플릿을 수정하거나 웹 검색을 통해 프로젝트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으며, 캔버스 기능을 통해 코드 수정 사항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기타 주요 업데이트
오픈AI는 프로젝트 기능 외에도 다음 기능들을 출시했다:
- 소라(Sora): 플러스와 프로 사용자 대상으로 유럽을 제외한 전 지역에서 이용 가능
- 라이브 비디오와 구독 기능
- 고급 음성 모드의 화면 공유 기능
- 전 세계 사용자가 이용 가능한 산타 모드
향후 계획
케빈 제품 책임자는 “무료 사용자들에게도 최대한 빨리 프로젝트 기능을 제공할 예정”이라며, “엔터프라이즈(Enterprise)와 교육(EDU) 버전은 내년 초에 출시될 것”이라고 밝혔다.
프로젝트 기능은 사용자들의 오랜 요청에 따라 개발됐으며, 대화 내용을 더 효율적으로 정리하고 활용할 수 있게 해준다. 기존의 대화 검색 기능과 함께 사용하면 더욱 체계적인 대화 관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해당 기사의 원문은 오픈AI 공식 유튜브에서 확인할 수 있다.
기사는 클로드 3.5 Sonnet과 챗GPT-4o를 활용해 작성되었습니다.
관련 콘텐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