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가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환자들의 일상 건강관리를 지원하는 새로운 사업을 추진한다. 병원 내 진단·치료 보조를 넘어 퇴원 후 가정에서도 지속적인 건강관리가 가능한 맞춤형 서비스 개발에 나선다. 과기정통부는 보도자료를 통해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과 함께 ‘의료 인공지능(AI) 혁신 생태계 조성(닥터앤서3.0)’ 사업의 공모를 3월 31일부터 실시한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환자가 병원 치료를 마치고 일상으로 복귀한 후에도 질병 재발이나 상태 악화를 방지하기 위해 인공지능 기반의 예후 관리 서비스를 개발하고 실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과기정통부는 기존에 의료진의 질병 진단과 치료 활동을 보조하는 ‘닥터앤서1.0’과 ‘2.0’ 사업을 추진해왔다. 이번에 새롭게 시작하는 ‘닥터앤서3.0’ 사업은 인공지능 기술이 의료기관에서의 치료 보조를 넘어 병원과 가정을 연계한 연속적인 건강관리를 지원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올해에는 공모를 통해 약 22억 원 규모의 1개 과제를 수행할 연합체(컨소시엄)를 선정한다. 개발되는 인공지능 해법(AI 솔루션)의 안전성과 유효성,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해 최대 4년 간 지원하며, 식품의약품안전처와 협업을 통해 의료기기로 개발되는 서비스의 인허가를 지원하여 신속한 시장 진입을 추진할 계획이다.
닥터앤서3.0 사업은 다양한 질환을 대상으로 한다. 수술·치료 후 예후관리가 필요한 암 환자 관리, 만성신장질환, 정형재활 질환(허리·목 디스크, 골절 등), 심장질환(심근경색 등)과 약물치료 등을 통한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한 대사성질환(당뇨, 비만 등), 피부질환(알레르기, 아토피 등), 호흡기질환(천식, 비염, 만성폐쇄성폐질환 등), 소화기질환(염증성 장질환 등) 등이 포함된다. 이를 위해 라이프로그, 병원 EMR 등 의료데이터를 활용하여 특정 질환·환자를 대상으로 재발·합병증 발생 징후 경고, 맞춤형 관리·개선 방안 제시, 적시 적소의 의료서비스 연계 서비스 등을 개발할 예정이다.
과기정통부 김경만 인공지능기반정책관은 “최근 공급자(병원 치료) 중심에서 수요자(환자 맞춤형 건강관리) 중심으로 의료서비스의 사고체계(패러다임)가 변화하고 있는데 인공지능을 통해 좀 더 사용자 친화적이고 개인화된 보건의료 서비스가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이어 “앞으로도 의료 분야에 우리 기업이 보유한 디지털 역량을 접목한 혁신 서비스를 선도적으로 개발하고 국민들이 혁신 기술의 혜택을 체감할 수 있는 정책 추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사업 참여에 관심이 있는 정보통신기술 기업은 서비스 개발에 필요한 질환별 양질의 의료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고, 성능평가·실증, 타 의료기관으로의 확산 등을 추진할 수 있는 의료기관(참여 필수), 연구기관·대학 등과 함께 연합체(컨소시엄)를 구성하여 지원할 수 있다.
해당 기사의 원문은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미지 출처: 이디오그램 생성
기사는 클로드와 챗GPT를 활용해 작성되었습니다.
관련 콘텐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