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메타와 유니버설 뮤직 그룹, AI 음악 문제 위한 라이선스 계약 확대

Image

이미지 출처: 미드저니 생성

메타(Meta)와 유니버설 뮤직 그룹(UMG, 이하 유니버설)이 음악 라이선스 계약을 확대했다. 이번 계약으로 사용자들은 유니버설이 보유한 음악을 메타의 플랫폼에서 저작권 침해 없이 공유할 수 있게 됐다.

이번 계약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점은 두 회사가 “허가받지 않은 AI 생성 콘텐츠”를 다루기로 했다는 것이다. 이는 원 창작자의 동의 없이 AI 시스템에 의해 무단으로 수집했던 노래들을 가리킨다. 아티스트와 작곡가들은 자신들의 작품이 AI 기업들의 모델 학습에 사용되는 문제를 심각하게 바라보고 있다.

유니버설의 마이클 내쉬(Michael Nash) 최고디지털책임자 겸 부사장은 성명을 통해 “아티스트와 작곡가들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허가받지 않은 AI 생성 콘텐츠 문제를 계속해서 함께 해결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파트너십은 올해 초 틱톡(TikTok)과 유니버설의 갈등 이후에 이뤄졌다. 당시 유니버설의 음악 카탈로그가 틱톡에서 삭제됐었다. 유니버설은 2월 성명을 통해 AI와 온라인 안전에 대한 우려를 강조했다. 두 회사는 5월에 화해했고, 빌리 아일리시(Billie Eilish)와 테일러 스위프트(Taylor Swift) 같은 아티스트들의 음악을 틱톡에서 플레이할 수 있었다.

이번 계약은 또한 미국 음반산업협회(RIAA)가 음악 생성 스타트업인 유디오(Udio)와 수노(Suno)를 상대로 제기한 AI 관련 소송의 여파로 이뤄졌다. 소송에서는 두 회사가 저작권이 있는 음악을 사용해 AI 모델을 훈련시켰다고 주장했다. 이달 초 수노는 공개적으로 저작권이 있는 노래를 사용했다고 인정했지만, 공정 사용 원칙에 따라 합법이라고 주장했다.

한편 메타는 AI 음악에 대해 윤리적 접근법을 취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메타가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한 내용에 따르면 생성형 AI 모델을 출시할 때 “메타 소유 및 특별히 라이선스를 받은 음악”만을 사용해 훈련시켰다고 한다.

또한 이번 계약으로 왓츠앱 사용자들이 처음으로 유니버설의 라이선스 음악을 메신저 앱 내에서 공유할 수 있게 됐다. 여기에는 메타가 소유한 소셜 네트워킹 앱이자 X(트위터)의 직접적인 경쟁자인 스레드도 포함된다. 그 외에도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호라이즌에서도 음악 공유가 가능하다.

메타와 유니버설은 2017년에 처음 파트너십을 맺었다. 이는 주요 음악 회사가 페이스북 사용자들에게 자사의 음악 카탈로그에 있는 노래가 포함된 동영상을 업로드하고 공유할 수 있도록 허용한 첫 사례였다.

자세한 내용은 테크크런치에서 확인할 수 있다.




메타와 유니버설 뮤직 그룹, AI 음악 문제 위한 라이선스 계약 확대 – AI 매터스 l AI Matt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