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대통령이 AI 기업들의 저작권 문제에 대한 중요한 보고서 발표 직후 미국 저작권청장을 전격 해임했다. 이 조치는 일론 머스크와 인공지능 학습 데이터를 둘러싼 논쟁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테크크런치(TechCrunch)가 11일(현지 시간) 보도한 내용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 저작권청(U.S. Copyright Office)을 이끌던 시라 펄머터(Shira Perlmutter) 청장을 해임했다. 이 소식은 CBS 뉴스와 폴리티코에서 보도되었으며, 미국 하원 행정위원회(Committee for House Administration)의 최고위 민주당 의원인 조 모렐(Joe Morelle) 의원의 성명을 통해 사실상 확인되었다.
모렐 의원은 “도널드 트럼프의 시라 펄머터 저작권 등록관 해임은 법적 근거가 없는 뻔뻔하고 전례 없는 권력 남용”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특히 “그녀가 일론 머스크의 인공지능 모델 학습을 위해 저작권이 있는 작품들을 대규모로 활용하려는 시도에 고무도장을 찍기를 거부한 지 하루도 안 되어 해임된 것은 결코 우연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펄머터 청장은 2020년 첫 번째 트럼프 행정부 시절에 미국 저작권청에 부임했다. 그녀는 의회 도서관장(Librarian of Congress)인 칼라 헤이든(Carla Hayden)에 의해 임명되었는데, 트럼프는 이번 주에 헤이든도 해임했다.
이번 해임은 미국 저작권청이 이번 주 발표한 인공지능과 저작권에 관한 보고서와 관련이 있다. 이 보고서에서 저작권청은 인공지능 기업들이 저작권이 있는 콘텐츠로 모델을 학습시킬 때 “공정 사용(fair use)”을 방어 논리로 사용하는 데 한계가 있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개별 사례의 결과를 미리 판단하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연구와 분석 목적의 사용은 허용될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기존 시장에서 경쟁하는 표현적 콘텐츠를 생산하기 위해 저작권이 있는 작품의 방대한 자료를 상업적으로 사용하는 것, 특히 불법적인 접근을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는 확립된 공정 사용 범위를 넘어선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청은 정부 개입이 “현 시점에서는 시기상조”라고 제안하면서도, AI 기업이 저작권 소유자에게 콘텐츠 접근 비용을 지불하는 “라이선싱 시장”이 계속 발전해야 한다는 희망을 표명했다. 또한 “시장 실패를 해결하기 위해 확장된 집단 라이선싱과 같은 대안적 접근법을 고려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오픈AI(OpenAI)를 포함한 여러 AI 기업들은 현재 저작권 침해 혐의로 다수의 소송에 직면해 있다. 오픈AI는 미국 정부가 공정 사용을 통해 AI 기업들에게 자유를 부여하는 저작권 전략을 법제화할 것을 요청한 바 있다. 한편, 일론 머스크는 오픈AI의 공동 창립자이자 경쟁 스타트업인 xAI(이전 트위터와 합병 중)의 창립자이기도 하다. 그는 최근 스퀘어(Square) 창립자 잭 도시(Jack Dorsey)의 “모든 지적재산권법을 폐지하자”는 요청에 지지를 표명했다.
트럼프는 자신의 소셜 네트워크인 트루스 소셜(Truth Social)에서 CBS 뉴스 기사를 링크한 변호사 마이크 데이비스(Mike Davis)의 게시물을 리트루스(“ReTruthed”) 했다. 흥미롭게도 데이비스는 해당 해임을 비판하며 “이제 기술계 인사들이 AI 이익을 위해 창작자들의 저작권을 훔치려 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번 사태는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과 함께 저작권 보호의 균형을 어떻게 맞출 것인가에 대한 중요한 질문을 제기하고 있으며, AI 학습 데이터와 저작권 문제가 정치적 결정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준다.
해당 기사의 원문은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미지 출처: 백악관 홈페이지
기사는 클로드와 챗gpt를 활용해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