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소프트가 2025년 빌드 컨퍼런스에서 기업 맞춤형 AI 서비스인 ‘코파일럿 튜닝(Copilot Tuning)’을 공개했다. 이 새로운 기업용 에이전트는 각 기업 특유의 어조와 언어를 학습하고, 나아가 회사별 전문성과 지식을 이해하는 기능을 갖추게 된다. 사티아 나델라(Satya Nadella) CEO는 발표에서 “코파일럿은 이제 모든 고객과 기업의 고유한 특성에 맞게 조정될 수 있다”며 “단순히 사용하는 것을 넘어 각 기업에 특화된 코파일럿을 구현할 수 있게 됐다”고 강조했다.
코파일럿 튜닝의 작동 방식은 간단하다. 기업은 참조 자료 세트로 트레이닝 환경을 구성하고 학습 실행을 시작하기만 하면 된다. 맞춤형 모델은 모든 소스 자료의 권한을 상속받고, 에이전트에 통합된 후에는 권한이 있는 사용자들에게 배포될 수 있다.
실제 적용 사례로, 법률 회사는 이 기술을 통해 과거 법적 논쟁과 관련 문헌을 분석하고, 회사의 특화된 전문성이 반영된 답변과 문서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여러 산업 분야에서 활동하는 컨설팅 회사의 경우, 각 산업별로 모델을 조정하여 해당 산업의 특정 워크플로우와 지식을 반영할 수 있게 된다.
마이크로소프트 365 코파일럿 앱의 메리(Mary)는 시연을 통해 RFP 응답 에이전트를 구축하는 과정을 보여주었다. 코파일럿 스튜디오에서 에이전트를 설정하고, 조직 내 올바른 지식 소스를 지정하며, 다이나믹스 MCP 서버와 연결하여 SKU 및 가격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새로운 멀티에이전트 오케스트레이션 기능을 통해 여러 에이전트가 협력하여 더 복잡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음을 시연했다. 예를 들어, RFP 에이전트는 컴플라이언스 체크를 전문으로 하는 에이전트와 연결되어 잠재적인 문제를 확인할 수 있다.
나델라 CEO는 “이것은 각 기업의 전문성을 더욱 증폭시켜 회사 내 모든 사람이 활용할 수 있게 하고, 제품과 서비스에 그 전문성이 반영되도록 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발표는 마이크로소프트가 추진하는 ‘오픈 에이전틱 웹(Open Agentic Web)’의 일환으로, 개발자들이 역할과 비즈니스 프로세스별로 에이전트와 멀티에이전트 프레임워크를 구축할 수 있는 새로운 수준의 자동화를 제공한다.
특히 코파일럿 튜닝은 데이터 과학자 팀이 몇 주에 걸쳐 해야 할 작업을 로우코드 방식으로 쉽게 수행할 수 있게 해주며, 컨트랙트 작성과 같은 특정 작업을 위해 특별히 설계된 새로운 모델을 미세 조정하는 과정을 간소화한다.
나델라 CEO는 “이는 완전한 게임 체인저”라며 “워크플로우와 비즈니스 프로세스 자동화의 다음 단계를 어떻게 생각할 것인지에 대한 패러다임이 바뀌고 있다”고 밝혔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이 밖에도 그록(Grok)을 Azure에 도입하고, 스탠포드 의대와 협력한 헬스케어 에이전트 오케스트레이터, 윈도우 AI 파운드리 등 다양한 AI 기술과 서비스를 발표했다.
해당 모델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미지 출처: MS
기사는 클로드와 챗gpt를 활용해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