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가 자체 개발한 인공지능 언어모델 ‘카나나 1.5’ 4종을 오픈소스로 공개했다고 23일(한국 시간) 발표했다. 카카오는 이날 8B와 2.1B 크기의 카나나 1.5 모델을 허깅페이스(Hugging Face)에 공개했다. 공개된 모델은 ▲카나나-1.5-8b-base ▲카나나-1.5-8b-instruct ▲카나나-1.5-2.1b-base ▲카나나-1.5-2.1b-instruct 총 4종이다. 아파치 2.0(Apache 2.0) 라이선스를 적용해 누구나 자유롭게 수정하고 상업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번에 공개된 카나나 1.5는 지난 2월 말 공개한 버전에서 성능이 향상된 모델이다. AI 에이전트(Agentic AI) 구현을 위한 기능 강화에 중점을 뒀으며, 코딩과 수학 문제 해결, 함수 호출(Function Calling) 능력에서 이전 대비 평균 1.5배의 성능 향상을 기록했다. 글로벌 모델 대비 뛰어난 한국어 성능을 유지하면서 오픈소스 SOTA(State-of-the-Art) 모델 수준의 성능을 달성했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카나나 1.5는 긴 문맥에 대한 이해 능력과 간결한 답변 기능도 강화했다. 기존보다 더 긴 텍스트 입력을 안정적으로 처리할 수 있으며, 정확도와 응답 길이를 최적화한 답변을 통해 서비스 환경에서 사용자 체감 성능을 향상시켰다. 카카오는 현재 더욱 향상된 버전인 카나나 2를 개발 중이라고 밝혔다. 더 긴 입력 처리, 보다 정교한 추론, 구조적 효율성 등 다양한 영역에서 진화된 모델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오픈소스 공개의 핵심은 상업 라이선스 적용이다. AI 연구자와 개발자는 물론 기업들이 목적에 맞게 모델을 자유롭게 튜닝하고 활용할 수 있어, 기술 경쟁력 확보와 동시에 협력 기반의 AI 생태계 구축이 가능하다.
카카오는 지난해 자체 개발 AI 모델 ‘카나나’ 라인업을 공개한 이후 꾸준히 오픈소스 공개를 이어오고 있다. 지난 2월에는 ‘카나나 Nano 2.1B’ 모델을 오픈소스로 배포했으며, 최근에는 국내 최초로 텍스트와 음성, 이미지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통합 멀티모달 언어모델 ‘카나나-o’의 성능을 공개하기도 했다.
해당 기사의 원문은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미지 출처: 카카오
기사는 클로드와 챗GPT를 활용해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