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Meta)의 핵심 AI 모델 라마(Llama) 개발진이 대거 회사를 떠나면서 인재 유출 논란이 가속화되고 있다. 비즈니스 인사이더가 26일(현지 시간) 보도한 내용에 따르면, 2023년 라마를 처음 공개한 획기적인 논문의 저자 14명 중 현재 메타에 남아있는 인원은 단 3명뿐이다. 특히 프랑스 AI 스타트업 미스트랄(Mistral)로의 집단 이직이 눈에 띈다. 미스트랄은 라마의 핵심 설계자였던 메타 출신 연구자 기욤 람플(Guillaume Lample)과 티모테 라크루아(Timothée Lacroix)가 공동 창립했다. 이들과 함께 여러 메타 출신 동료들이 미스트랄에 합류해 메타의 주력 AI 모델과 직접 경쟁하는 오픈소스 모델을 개발하고 있다.
메타의 AI 전략도 도전받고 있다. 월스트리트 저널에 따르면, 메타는 내부 성능 우려로 대규모 AI 모델 베히모스(Behemoth) 출시를 연기했다. 최신 모델인 라마 4는 개발자들로부터 미지근한 반응을 받았으며, 많은 개발자들이 딥시크(DeepSeek)와 큐웬(Qwen) 같은 경쟁업체로 시선을 돌리고 있다. 조직 내부에서도 변화가 일어났다. 8년간 메타 기초 AI 연구 그룹(FAIR)을 이끌어온 조엘 피노(Joelle Pineau)가 사임하고, 구글(Google) 딥마인드(DeepMind) 출신 로버트 퍼거스(Robert Fergus)가 후임으로 임명됐다.
이탈한 연구자들의 메타 평균 재직 기간은 5년 이상으로, 이들은 단기 고용이 아닌 메타 AI 개발의 핵심 인력들이었다. 이들 중 상당수가 미스트랄, 앤트로픽(Anthropic), 구글 딥마인드,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AI 등 주요 경쟁업체로 이직했다. AI에 수십억 달러를 투자했음에도 메타는 아직 다단계 사고와 문제 해결에 특화된 전용 ‘추론’ 모델을 보유하지 못하고 있다. 구글과 오픈AI(OpenAI)가 이러한 기능을 우선시하면서 메타의 기술적 격차는 더욱 부각되고 있다.
2023년 라마 논문은 오픈 웨이트 대규모 언어 모델을 오픈AI의 GPT-3와 구글의 팜(PaLM) 같은 독점 시스템의 실용적 대안으로 인정받게 하는 중요한 역할을 했다. 하지만 원래 개발팀이 대부분 떠난 상황에서 메타는 오픈소스 AI 분야에서의 선도적 지위를 유지하기 어려운 상황에 직면했다.
해당 기사의 원문은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