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가 자체 개발한 인공지능(AI) 모델 두 종을 무료로 공개했다고 24일(한국 시간) 발표했다. 이번에 공개된 AI는 국내 모델 중 가장 뛰어난 성능을 보이는 것으로 평가받는다. 카카오는 글로벌 AI 공유 플랫폼인 허깅페이스를 통해 ‘카나나-1.5-v-3b’와 ‘카나나-1.5-15.7b-a3b’ 두 모델을 공개했다. 첫 번째 모델은 이미지와 텍스트를 동시에 이해할 수 있는 AI이고, 두 번째는 적은 컴퓨터 자원으로도 높은 성능을 내는 효율형 AI다.
이는 지난 5월 카나나 AI 4종을 공개한 지 두 달 만이다. 카카오는 이를 통해 해외 기술에 의존하지 않고 독자적으로 AI를 만들 수 있는 능력을 다시 한번 보여줬다고 밝혔다. 새로 공개된 ‘카나나-1.5-v-3b’는 사진을 보고 내용을 이해하거나 질문에 답할 수 있는 AI다. 지난 5월 공개한 카나나 모델을 바탕으로 만들어졌으며, 처음부터 끝까지 카카오 기술자들이 직접 개발했다.
이 AI는 크기가 작음에도 불구하고 사진 속 한국어와 영어 문서를 이해하는 능력이 오픈AI의 GPT-4o와 비슷한 수준이다. 국내외 비슷한 크기의 AI들과 성능을 비교한 결과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고, 사용자 지시를 따르는 능력은 국내 다른 AI보다 28% 더 뛰어났다. 카카오는 큰 AI 모델이 가진 지식을 작은 모델에게 가르치는 ‘지식 전수’ 기법과 사람이 선호하는 답변을 학습시키는 방법을 사용해 성능을 높였다고 설명했다.
함께 공개된 두 번째 AI는 ‘전문가 혼합 모델’이라는 새로운 방식으로 만들어졌다. 기존 AI가 모든 부품을 다 사용해 작업하는 것과 달리, 이 AI는 필요한 전문 부품만 골라서 사용한다. 덕분에 컴퓨터 자원을 적게 쓰면서도 높은 성능을 낼 수 있어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이 AI는 전체 157억 개의 설정값 중 실제로는 30억 개만 사용해 작동한다. 카카오는 기존에 만든 30억 개 규모의 AI를 재활용해서 개발했다. 사용하는 설정값은 30억 개에 불과하지만 성능은 80억 개 규모의 AI와 비슷하거나 더 좋다.
카카오 김병학 카나나 성과리더는 “이번 오픈소스 공개는 비용 효율성과 성능이라는 유의미한 기술 개발의 성과를 거둔 것으로, 단순한 모델 아키텍처의 진보를 넘어 서비스 적용과 기술 자립이라는 두 가지 측면의 목표에 부합하는 결과물”이라고 말했다.
해당 기사의 원문은 카카오 뉴스룸에서 확인 가능하다.
이미지 출처: 카카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