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이 자체 개발한 초거대 언어모델(LLM) ‘에이닷 엑스(A.X) 3.1’을 24일(한국 시간) 오픈소스 플랫폼 허깅페이스(Hugging Face)에 공개하며 국내 AI 기술 독립의 신호탄을 쐈다. 이번에 공개한 A.X 3.1은 매개변수 340억 개를 기반으로 구축된 모델로, SK텔레콤이 전 과정을 독자 기술로 수행한 첫 대형 모델이다.
에이닷 엑스 3.1은 전작인 A.X 3.0보다 대화 성능 외 코드와 수학 처리 능력을 대폭 향상시킨 점이 특징이다. 특히 프롬 스크래치 방식으로 개발돼 모델 설계부터 학습까지 전 과정을 SKT가 주도했다. 표준형과 경량형 두 가지 모델로 공개됐으며, 이와 함께 대규모 사전학습 방식의 A.X 4.0 모델 2종까지 포함해 총 4개의 모델이 오픈소스로 배포됐다.
이들 모델은 학술연구는 물론 상업적 이용까지 가능한 범용 라이선스로 공개됐다. 특히 A.X 3.1은 A.X 4.0에 비해 절반 이하의 매개변수를 사용하지만, 한국어 응답 성능에서는 약 90% 수준에 근접한 효율을 보여준다. 한국어 능력 평가인 KMMLU에서는 A.X 3.1이 69.2점을 기록해 A.X 4.0의 78.3점 대비 약 88% 수준의 성능을 보였고, 한국 문화 이해도 평가 CLIcK에서는 각각 77.1점과 85.7점을 기록했다.
SK텔레콤은 이번 모델 공개를 계기로 AI 밸류체인 전반에 걸친 풀스택 생태계 구축에도 나섰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관하는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사업에 참여한 SKT 컨소시엄은 반도체부터 모델, 데이터, 서비스까지 아우르는 독자 기술 기반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컨소시엄에는 크래프톤, 포티투닷, 리벨리온, 라이너, 셀렉트스타 등 각 분야의 대표 기술 기업들이 참여했다. 또한 서울대학교와 KAIST의 연구진도 힘을 보태며 기술 개발에 학문적 깊이를 더하고 있다. SK하이닉스, SK이노베이션, SKB 등 SK그룹사뿐 아니라 AI 동맹인 K-AI 얼라이언스 소속 기업들도 향후 모델 활용에 대한 의향서를 제출했다.
SK텔레콤은 향후 옴니모달(Omni-Modal) AI로의 확장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는 텍스트뿐 아니라 이미지, 음성, 영상 등 다양한 데이터 유형을 통합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차세대 AI 기술로, 기존 트랜스포머 구조를 넘어서는 혁신적 접근을 목표로 한다. 이를 통해 글로벌 AI 경쟁에서 독자적인 기술 우위를 확보한다는 전략이다.
김태윤 SK텔레콤 파운데이션 모델 담당은 “각 분야 선도 기업들과의 협력을 통해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소버린 AI 모델을 구축해 나가겠다”며 “국내 AI 생태계 전반을 고려한 혁신적 모델을 선보이겠다”고 밝혔다.
해당 기사의 원문은 SKT 뉴스룸에서 확인 가능하다.
이미지 출처: SK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