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LG전자 CEO “AX 속도가 사업 성패 좌우할 것”… AI 전환 선봉 선언

LG전자 CEO "AX 속도가 사업 성패 좌우할 것"... AI 전환 선봉 선언
이미지 출처: LG

LG전자 조주완 최고경영자(CEO)가 인공지능 전환(AX, AI Transformation)을 기업 생존의 핵심 요소로 규정하며 직접 AI 확산에 나서겠다고 28일(한국 시간) 밝혔다. 조 CEO는 최근 열린 구성원 소통행사 ‘AX 토크콘서트’에서 “이제는 AX의 속도가 사업의 성패를 좌우하게 될 것”이라며 “AI를 빠르게 확산하기 위해 ‘최고확산책임자(Chief Diffusion Officer)’ 역할을 하겠다”고 말했다. 기업의 구조적 혁신을 위해 CEO가 직접 변화를 이끄는 ‘체인지 에이전트’ 역할을 자처한 것이다.

그는 “AI가 4차 산업혁명을 이끄는 범용 핵심기술로 빠르게 확산되면서 기업에 단순한 업무 방식 변화를 넘어 일의 본질 자체에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AI와 함께 더 나은 방식으로 일하고 조직 전체가 지속적인 변화와 진화를 만들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LG전자는 ‘완전히 디지털화된 LG전자’를 AX 비전으로 제시하고 2~3년 내 현재 업무 생산성을 30% 높이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를 통해 구성원들이 고부가 업무에 집중하며 업무 전문성과 역량 개발에 시간을 할애할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행사에서는 주요 AX 추진 사례들도 공개됐다. 자체 개발한 생성형 AI 데이터 시스템 ‘찾다(CHATDA)’가 대표적이다. AI 기반 데이터 분석을 통해 기존 3~5일 소요되던 데이터 탐색 시간을 30분으로 단축했다. 직원들은 찾다와 대화하며 특정 지역이나 문화권에 최적화된 제품 전략을 수립하고 있다. 실제 인도에서는 고객들의 냉장고 사용 패턴 분석을 바탕으로 위생·신선 기능을 추가한 냉장고를 출시했다. 브라질에서는 세탁 빈도가 잦고 세탁량이 적다는 분석 결과를 반영해 소량급속 코스 기능을 앞에 배치한 세탁기를 선보였다.

2018년 첫 선보인 사내 AI 에이전트 ‘엘지니(LGenie AI)’도 단순 챗봇에서 업무용 AI 에이전트 플랫폼으로 진화했다. LG AI연구원의 엑사원(EXAONE)을 기본으로 마이크로소프트의 애저 AI 서비스(Azure AI services), 오픈AI의 챗GPT, 구글의 제미나이(Gemini) 등 다양한 생성형 AI를 접목했다. ㅠ엘지니는 현재 월 70만 건 이상의 업무 상호작용을 처리하고 있다. 71개 언어를 지원하는 통역 기능은 월 1,200시간 이상, 번역 기능은 월 12만 건 이상의 문서를 자동 처리한다. LG전자는 앞으로 엘지니의 기능을 영업·마케팅, 공급망관리(SCM) 등 전문영역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해당 기사의 원문은 LG 뉴스룸에서 확인 가능하다.

이미지 출처: LG




LG전자 CEO “AX 속도가 사업 성패 좌우할 것”… AI 전환 선봉 선언 – AI 매터스 l AI Matt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