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원회가 보이스피싱 범죄를 사전에 차단하기 위한 인공지능(AI) 플랫폼을 올해 안에 출범시킨다고 발표했다. 이 플랫폼은 금융기관과 통신사, 수사기관의 정보를 통합해 보이스피싱 의심계좌를 실시간으로 탐지하고 차단하는 시스템이다. 금융위원회는 28일(한국 시간) 권대영 금융위 부위원장 주재로 보이스피싱 근절을 위한 현장간담회를 개최해 이 같은 계획을 밝혔다. 이번 간담회는 지난달 5일 국무회의에서 이재명 대통령이 보이스피싱에 대한 특단의 대책을 지시한 이후 10여 차례 실무전문가회의를 거쳐 마련되었다.
권대영 부위원장은 “AI와 딥페이크 기술, 가상자산, 스미싱 등 최신기술을 악용해 빠르게 진화하는 보이스피싱 범죄를 근절해 국민의 안전과 재산을 지키는 일이 시급한 과제”라고 강조했다. 그는 “범죄수법이 빠르게 진화해 기존 방식으로는 쉽게 해결되지 않는 문제는 현장 전문가의 목소리를 적극 경청해 과감하고 근본적인 조치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새로 구축될 보이스피싱 AI 플랫폼은 전 금융권과 통신사, 수사기관의 보이스피싱 의심계좌 관련 정보를 ‘긴급공유 필요정보’와 ‘AI 분석정보’로 구분해 통합 관리한다. 긴급공유 필요정보는 긴급한 보이스피싱 상황에 즉시 대응하기 위한 피해의심자 연락처 등의 정보다. 이 정보는 가공작업 없이 필요한 기관에 즉시 전달되어 금융회사가 범죄자 계좌 지급정지 등 긴급 조치를 할 수 있게 한다.
AI 분석정보는 수많은 금융회사 계좌 중에서 보이스피싱 의심계좌의 특징을 분석해 사전에 식별하기 위한 정보다. 금융보안원의 AI 모델을 바탕으로 최신 보이스피싱 수법을 포함한 패턴 분석을 거쳐 전 금융권의 범죄계좌 사전 차단에 활용된다.
이 플랫폼을 통해 금융회사와 통신사, 수사기관은 보이스피싱 범죄 의심계좌를 사전에 지급정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해가 의심되는 고객과 통신회선에 대한 사전 경고와 안내, 범죄 취약계층 대상 예방정책 수립 등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특히 사전탐지 역량이 상대적으로 낮은 제2금융권과 통신사, 수사당국에 상당한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보이스피싱 AI 플랫폼은 참가기관 협의를 거쳐 연내 출범할 예정이며, 모든 금융권과 전자금융업자, 통신회사, 수사기관이 순차적으로 참여한다.
해당 기사의 원문은 대한민국정책브리핑에서 확인 가능하다.
이미지 출처: 금융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