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챗GPT 많이 쓰면 멍청해진다? 오픈AI, “어떻게 쓰느냐에 따라 달라”

챗GPT 많이 쓰면 멍청해진다? 오픈AI, “어떻게 쓰느냐에 따라 달라”
이미지 출처: 오픈AI 유튜브

생성형 AI가 교육 현장에 확산되면서 ‘brain rot(뇌 퇴화)’ 우려가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오픈AI(OpenAI) 교육 책임자가 이같은 주장에 대해 반박했다. 리아 벨스키(Leah Belsky) 오픈AI 교육 책임자는 30일(한국 시간) 오픈AI 유튜브 팟캐스트에서 “AI로 인한 뇌 퇴화 우려는 매일 받는 질문”이라며 “AI는 결국 도구일 뿐이고, 그 도구를 어떻게 사용하느냐가 가장 중요하다”고 말했다.


벨스키는 “학습에는 고민과 정보 처리 과정이 필요한데, 학생들이 AI를 답안 제조기로만 사용한다면 당연히 배우지 못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자신의 딸이 장제법(긴 나눗셈)을 배우는 과정을 예로 들며 “계산기를 주고 나눗셈 문제를 하지 말라고 하면 장제법을 배울 수 없다”면서도 “나중에 고급 수학을 배울 때는 계산기를 통해 더 높은 수준의 수학을 할 수 있다”고 비교했다.

최근 한 연구가 ‘AI 답변을 복사-붙여넣기하면 학습하지 못한다’는 결과를 발표해 화제가 됐다. 벨스키는 “마라톤 훈련을 위해 스쿠터를 타라고 하면 체력이 늘지 않는 것과 같은 당연한 이야기”라며 “중요한 것은 이런 도구를 실제로 어떻게 사용할 것인가, 어떻게 비판적 사고 능력을 개발할 것인가를 계속 고민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스터디 모드(Study Mode)’는 이같은 우려를 해소하기 위한 시도다. 기존 챗GPT(ChatGPT)가 바로 답을 제공했다면, 스터디 모드는 소크라테스식 교육법을 채택해 학생들이 스스로 답을 찾아가도록 안내한다.

UC 버클리 학생인 알라프는 “스터디 모드는 도전적이고 사용자가 실제로 자신에게 도전하도록 만든다”며 “AI에 대해 물어봤을 때 일반 모드는 AI 유형의 긴 목록을 줬지만, 스터디 모드는 내 질문에 답하지 않고 내가 진짜 원하는 게 무엇인지 알기 위해 세 가지 질문을 던졌다”고 설명했다. USC 학생인 야베세라도 “스터디 모드는 몇 분 후 ‘이것 기억하나?’라며 정신적 체크를 한다”며 “우리 뇌에서 신경 연결을 형성하고 개념을 실제로 기억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평가했다.

벨스키는 “오픈AI가 스터디 모드를 만든 이유는 학생들이 피드백이나 퀴즈, 학습을 유도하는 방식으로 모델에 프롬프트하는 법을 배우지 않아도 되도록 하기 위해서”라며 “모델 자체가 학생을 밀어주고 답을 향해 안내하며 개인화하고 맥락을 제공하는 모드가 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교육 현장에서도 AI 활용 방식이 변화하고 있다. 야베세라는 “커뮤니케이션 수업에서 ‘이 용어를 정의하라’ 같은 자동화 가능한 과제는 줄어들고, ‘이 용어를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 ‘더 큰 맥락에서 무엇을 의미하는가’ 같은 의미와 의도성에 집중하는 질문이 늘어났다”고 전했다.

벨스키는 “우리의 목표는 학생들과 교육자들이 비판적 사고와 창의성을 확장하는 방식으로 AI를 사용하도록 돕는 것”이라며 “이것이 학습의 경계를 진정으로 발전시키는 방법”이라고 강조했다.

해당 기사에서 인용한 팟캐스트는 오픈AI 유튜브에서 확인 가능하다.

이미지 출처: 오픈AI 유튜브




챗GPT 많이 쓰면 멍청해진다? 오픈AI, “어떻게 쓰느냐에 따라 달라” – AI 매터스 l AI Matt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