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가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2025 코리아 글로벌 디지털·AI 포럼에서 자체 개발한 인공지능 모델들을 선보였다. 카카오는 5일(한국 시간) 인천 송도 쉐라톤 그랜드호텔에서 열린 APEC 디지털·AI 장관회의 부대행사에 참여해 경량 멀티모달 언어모델 ‘카나나-1.5-v-3b(Kanana-1.5-v-3b)’와 AI 가드레일 모델 ‘카나나 세이프가드(Kanana Safeguard)’를 전시했다고 밝혔다.
지난달 24일 오픈소스로 공개한 카나나-1.5-v-3b는 텍스트와 이미지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멀티모달 언어모델이다. 사용자가 장소 사진을 첨부하며 “이 사진이 촬영된 장소를 간단히 설명해 줘”라고 질문하면 “이 사진은 서울 광화문 일대를 배경으로 하고 있습니다”처럼 한국 문화에 대한 높은 인식력을 바탕으로 정확한 답변을 제공한다.
카나나 세이프가드는 AI 서비스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검증하는 가드레일 모델로,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반영한 자체 데이터셋을 활용해 한국어에 특화된 성능을 갖췄다. 총 3가지 모델로 구성되며 리스크 유형에 따라 유해성과 위험성을 효과적으로 탐지할 수 있다. 카카오는 지난 5월 국내 기업 최초로 이 모델을 오픈소스로 공개했다.
이날 포럼에서 글로벌 빅테크 기업 메타(Meta)가 주최한 별도 세션에는 카카오 김경훈 AI 세이프티 리더가 패널토론 연사로 참여해 ‘오픈소스 AI의 가치’를 주제로 논의했다. 세션에는 메타, 리눅스 재단(Linux Foundation),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도 참석했다.
카카오 관계자는 “전시 공간을 통해 카카오가 구축한 AI 기술 개발 현황을 직접 경험해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며 “앞으로도 AI 기술 개발을 바탕으로 국내 AI 생태계 활성화와 경쟁력 확보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해당 기사의 원문은 카카오 뉴스룸에서 확인 가능하다.
이미지 출처: 카카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