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돈 때문이었나… 엔비디아·AMD, AI칩 중국 판매 재개, 美 정부에 수익 15% 제공

엔비디아·AMD, AI칩 중국 판매 재개… 美 정부에 수익 15% 제공 조건
이미지 출처: 엔비디아

테크크런치가 11일(현지 시간) 보도한 내용에 따르면, 엔비디아(NVIDIA)와 AMD가 중국에 고성능 AI 칩을 판매하는 대가로 미국 정부에 수익의 15%를 지불하기로 합의했다고 파이낸셜타임스(Financial Times)가 익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파이낸셜타임스에 따르면 정부 소식통은 엔비디아가 중국에서 H20 AI 칩 판매 수익을 미국 정부와 공유하고, AMD는 MI308 칩 판매 수익 일부를 나누기로 했다고 전했다. 정부는 또한 두 회사의 칩 판매를 위한 라이선스 발급을 시작했다고 보도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4월 중국에 대한 특정 고성능 AI 추론 칩 판매를 제한했지만, 엔비디아가 미국 내에서 최대 5000억 달러 규모의 데이터센터 투자를 약속한 후 몇 달 뒤 이 금지 조치를 중단했다. 이후 7월 엔비디아는 바이든 행정부의 제재에 따라 중국 시장용으로 특별히 설계한 H20 AI 칩의 중국 판매를 재개하겠다고 발표했다.

엔비디아 대변인은 이메일 성명에서 “우리는 전 세계 시장 참여에 대해 미국 정부가 정한 규칙을 따른다”며 “H20을 중국에 수개월간 출하하지 않았지만, 수출 통제 규칙이 미국이 중국과 전 세계에서 경쟁할 수 있도록 허용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하워드 루트닉(Howard Lutnick) 미국 상무장관에 따르면 엔비디아의 방침 변화는 전기차용 충전식 배터리 등 부품 제조에 필요한 희토류 원소와 관련된 중국과의 무역 협상과 연관이 있다고 했다.

엔비디아의 H20 칩 판매 승인에 대한 행정부의 결정은 비판에 직면하고 있다. 국가안보 전문가들과 전직 정부 관료들은 지난달 루트닉에게 서한을 보내 정부가 방침을 되돌릴 것을 촉구했다. AI 칩 경쟁은 과거 미국의 국가안보 문제로 여겨졌지만, 이제는 관세 문제로 변화하고 있는 양상이다. 이번 합의는 미중 기술 패권 경쟁에서 경제적 실익을 추구하는 새로운 접근법을 보여준다고 분석된다.

엔비디아와 AMD의 이러한 결정은 중국이라는 거대한 AI 칩 시장에서의 기회를 놓치지 않으면서도 미국 정부의 규제를 준수하려는 전략적 선택으로 해석된다. 특히 중국은 AI 기술 발전을 위해 고성능 칩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상황이다.

해당 기사의 원문은 테크크런치에서 확인 가능하다.

이미지 출처: 엔비디아




돈 때문이었나… 엔비디아·AMD, AI칩 중국 판매 재개, 美 정부에 수익 15% 제공 – AI 매터스 l AI Matt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