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네이버 플레이스, AI 브리핑 도입 후 체류시간 10% 클릭률 27% 급증

네이버 플레이스, AI 브리핑 도입 후 체류시간 10% 클릭률 27% 급증
이미지 출처: 네이버

네이버가 올해 6월 출시한 ‘플레이스 AI 브리핑’ 서비스가 사용자들의 장소 탐색 패턴을 크게 바꾸며 실제 매출 증대까지 이끌어내고 있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네이버는 21일(한국 시간) 플레이스 AI 브리핑 도입 이후 사용자 행동 변화를 분석한 결과, 체류 시간과 클릭률 등 주요 지표에서 두 자릿수 성장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플레이스 AI 브리핑은 네이버 플레이스에 등록된 식당과 카페의 리뷰를 인공지능이 분석해 핵심 정보만 요약해 제공하는 서비스다. 사용자가 특정 업체를 검색하면 AI가 수많은 리뷰에서 공통적으로 언급되는 특징들을 뽑아내어 대표 메뉴의 장점, 매장 분위기, 예약 방법 등을 한눈에 보여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AI 브리핑이 적용된 업체들의 사용자 평균 체류 시간이 도입 이전 대비 10.4% 증가했다. 사용자들이 더 오래 머물며 정보를 탐색하고 있다는 의미다. 특히 클릭률은 27.4%나 늘어나 사용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도가 크게 높아졌음을 보여준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업체 상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더보기’ 탭 클릭률이 137% 급증했고, 메뉴 더보기 클릭률도 30% 증가했다. 이는 사용자들이 AI 브리핑으로 요약된 정보를 확인한 후 더 자세한 내용을 알아보려는 행동이 늘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더 주목할 점은 이러한 변화가 실제 비즈니스 성과로 이어지고 있다는 사실이다. AI 브리핑이 적용된 업체들의 예약과 주문 건수가 도입 전보다 약 8%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조용한 분위기로 비즈니스 미팅에 적합하다”거나 “루프탑석과 야외석은 반려견 동반이 가능하다” 같은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방문 결정을 돕고 있기 때문이다.

네이버는 이 같은 성과를 바탕으로 AI 브리핑 서비스를 더욱 확대할 계획이다. 현재 상호명 검색에만 제공되는 AI 브리핑을 향후 “주차 여건은 어떤가”, “아기 의자가 있나” 같은 구체적인 질문에도 답변할 수 있도록 고도화한다. 또한 음식점과 카페뿐만 아니라 숙박, 미용, 명소 등 다양한 업종으로 확대해 연내 커버리지를 두 자릿수까지 늘릴 예정이다.

해당 기사의 원문은 네이버 뉴스룸에서 확인 가능하다.

이미지 출처: 네이버




네이버 플레이스, AI 브리핑 도입 후 체류시간 10% 클릭률 27% 급증 – AI 매터스 l AI Matt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