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구글, 전 세계 공공 데이터 접근 가능한 MCP 서버 출시

"복잡한 통계 데이터, 이제 AI에게 물어보면 끝"... 구글, 전 세계 공공 데이터 접근 가능한 MCP 서버 출시
이미지 출처: 구글

구글이 AI 개발자들의 공공 데이터 접근성을 크게 향상시킬 데이터 커먼스 모델 컨텍스트 프로토콜(MCP) 서버를 공개했다. 구글 개발자 블로그에 따르면, 24일(현지 시각) 출시된 이 서버는 AI 에이전트가 복잡한 API 학습 없이도 데이터 커먼스의 방대한 공공 데이터셋에 직접 접근할 수 있게 한다. 특히 대규모 언어 모델(LLM)의 환각 현상을 줄이는 데 실제 통계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이 핵심이다.

이 서버의 실제 효과는 원(ONE) 캠페인과의 협력 사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아프리카 개발 지원 조직인 원 캠페인은 MCP 서버를 활용해 ‘원 데이터 에이전트’를 개발했다. 이 도구는 사용자가 평이한 언어로 수천만 개의 보건 재정 데이터를 몇 초 만에 검색할 수 있게 해준다.

기존에는 보건 재정 데이터가 여러 데이터베이스에 분산되어 있어 신뢰할 수 있는 보고서를 작성하려면 수동으로 데이터를 수집해야 했다. 하지만 이제는 “공여국 삭감 위험에 처한 국가는 어디인가”와 같은 복잡한 질문도 즉시 답변을 얻을 수 있다.

구글은 개발자들이 쉽게 시작할 수 있도록 제미나이 CLI용 PyPi 패키지와 구글 콜랩의 에이전트 개발 키트(ADK) 샘플을 함께 제공한다고 밝혔다.

해당 기사의 원문은 구글 개발자 블로그에서 확인 가능하다.

이미지 출처: 구글




구글, 전 세계 공공 데이터 접근 가능한 MCP 서버 출시 – AI 매터스 l AI Matt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