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AI로 재해석한 한일 전통 괴담, 북미 OTT 진출… 팀 제이커브, 2연속 글로벌 OTT 유통 성공

AI로 재해석한 한일 전통 괴담, 북미 OTT 진출… 팀 제이커브, 2연속 글로벌 OTT 유통 성공
이미지 출처: 팀 제이커브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해 재해석한 한일 전통 괴담이 북미 OTT 플랫폼에서 스트리밍되며, AI 기반 콘텐츠의 글로벌 경쟁력을 입증했다. 이번 프로젝트는 한국의 팀 제이커브(Team Jcurve)가 주최한 ‘한일 괴담 AI 숏폼 공모전’의 수상작을 중심으로 진행됐다.

시상식과 상영회는 지난 9월 14일, 한국 북촌 한옥과 일본 교토 사찰을 메타버스로 연결해 개최됐다. 이후 수상작들은 10월 1일부터 미국 OTT 플랫폼 ODK Media의 전용 스트리밍관 ‘아시안 호러 스토리’를 통해 북미 시청자들에게 공개됐다.

이는 팀 제이커브가 지난해 개최한 ‘2035 AI 숏폼 공모전’에 이어 두 번째 글로벌 유통 성공 사례로, AI 콘텐츠가 기술적 실험 단계를 넘어 상업적 가능성을 실현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특히 이번 공모전은 한국과 일본 양국의 AI 크리에이터들이 협력해 전통 문화와 첨단 기술을 융합하고 국경을 넘는 창작 모델을 제시한 점에서 주목받았다.

공모전 참가자들은 AI 도구를 활용해 각국의 전통 괴담을 숏폼 콘텐츠로 재구성했다. 수퍼톤의 AI 음성 합성 기술은 캐릭터에 감정과 개성을 불어넣는 데 기여했고, 픽스버스의 비디오 생성 도구는 비전문가도 높은 품질의 영상을 제작할 수 있도록 했다. 오비스는 크리에이터들이 실시간으로 교류하고 피드백을 주고받을 수 있는 버추얼 창작 공간을 제공해 창작의 효율성과 완성도를 높였다.

다이아몬드 상 수상작은 공모형 부문에서 곽란의 ‘Toilet Ghost Story(화장실 귀신 이야기)’, 자유형 부문에서 달탱이의 ‘무고’, 일본 부문에서는 RYO AI WORKS의 ‘Hell’s Gate(지옥의 문)’가 각각 선정돼 높은 창의성과 완성도를 인정받았다.

수상작들은 단순한 콘텐츠를 넘어, AI 기반 창작물이 실제 글로벌 시장에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했다. 북미 시장에서의 2회 연속 스트리밍 성공은 AI 크리에이터의 지속 가능한 비즈니스 모델로서의 잠재력을 확인시켰다.

팀 제이커브 장현민 대표는 “AI는 전통 이야기와 현대 기술을 연결해 새로운 콘텐츠 유통 모델과 협업 구조를 만들어냈다”며 “이번 북미 진출 사례는 AI 창작물이 세계 시장에서도 충분히 통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줬다”고 평가했다.

이어 장 대표는 “이번 성과를 바탕으로, 제이커브스쿨과 제이커브 스튜디오를 연계한 AI 크리에이터 생태계를 강화해 대한민국 AI 창작자들의 글로벌 진출을 본격화하겠다”고 밝혔다.

이미지 출처: 팀 제이커브

Image Not Found




AI로 재해석한 한일 전통 괴담, 북미 OTT 진출… 팀 제이커브, 2연속 글로벌 OTT 유통 성공 – AI 매터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