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터 통신은 28일(현지시간) 메타 플랫폼스(Meta Platforms)가 알파벳의 구글과 마이크로소프트의 빙 검색엔진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인공지능(AI) 기반 검색엔진을 개발 중이라고 보도했다.
AI 검색엔진 분야는 ChatGPT 개발사 오픈AI, 구글, 마이크로소프트가 급속도로 발전하는 시장에서 주도권을 잡기 위해 경쟁하고 있다.
정보에 정통한 관계자에 따르면, 메타의 웹 크롤러는 왓츠앱, 인스타그램, 페이스북에서 제공되는 메타 AI 챗봇을 통해 사용자들에게 시사 현안에 대한 대화형 답변을 제공할 예정이다.
페이스북의 모기업인 메타는 현재 뉴스, 주식, 스포츠 관련 정보를 사용자들에게 제공하기 위해 구글과 빙 검색엔진에 의존하고 있으며, 오픈AI는 최대 투자자인 마이크로소프트의 빙 검색엔진을 통해 웹을 통핸 최신 정보에 대한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구글은 최신 AI 모델인 제미나이를 검색 등 핵심 제품에 적극 통합하며, 더욱 자연스러운 대화에 가까우며 직관적인 검색 경험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아직까지 AI 모델과 검색엔진 학습을 위한 웹 데이터 수집은 저작권 침해와 콘텐츠 제작자에 대한 공정한 보상에 대한 문제가 명쾌하게 해결되지 않은 상황이다. 이런 가운데 메타는 지난주 자사의 AI 챗봇이 뉴스와 시사 현안에 대한 사용자 질문에 실시간으로 답변하기 위해 로이터 콘텐츠를 사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기사에 인용된 로이터 기사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
관련 콘텐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