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가 인공지능(AI) 통화 비서 ‘익시오(ixi-O)’를 출시하며 통신사들의 AI 비서 시장 경쟁이 본격화됐다.
LG유플러스의 보도자료에 따르면, LG유플러스가 인공지능(AI) 통화 에이전트 ‘익시오(ixi-O)’를 공식 출시하며 AX(AI 트랜스포메이션) 기업으로의 전환을 본격화했다.
황현식 LG유플러스 대표는 7일 서울 용산사옥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AX 컴퍼니로 도약하기 위한 전략을 발표했다. 황 대표는 AX 컴퍼니를 ‘AI 기술이 아닌 고객가치를 제공하는 회사’로 정의하고, 자체 AI 역량과 빅테크 기업들과의 협력을 통해 고객이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AX 서비스를 구현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익시오 개발 과정에는 약 1만 명의 고객 의견이 반영됐으며, LG유플러스는 이를 통해 실제 사용자들의 needs를 서비스에 구현했다고 알려졌다.
LG유플러스는 ‘Growth Leading AX Company’를 새로운 슬로건으로 내세우고 AI 혁신을 가속화하고 있다. 올해 6월에는 LG AI연구원의 생성형 AI ‘엑사원(EXAONE)’을 기반으로 통신 특화 생성형 AI ‘익시젠(ixi-GEN)’을 개발했으며, AI 개발 플랫폼 ‘익시 솔루션(ixi-Solution)’도 출시했다.
새롭게 출시된 익시오는 ▲AI 전화 대신 받기 ▲보이는 전화 ▲실시간 보이스피싱 감지 ▲통화 녹음 및 요약 기능을 제공한다. 특히 온디바이스(On-device) 환경에서 대부분의 기능을 구현해 보안성을 강화했다.
보이스피싱 탐지 기능은 개인정보보호위원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립과학수사연구원, 한국인터넷진흥원의 데이터를 활용해 개발됐으며, 서울경찰청의 실제 보이스피싱 피해 데이터도 AI 학습에 반영됐다.
LG유플러스는 B2B 영역에서 ‘All in AI’ 전략을 통해 인프라, 플랫폼, 데이터 기반의 AI 서비스를 고도화할 계획이다. B2C 영역에서는 익시오를 중심으로 ‘퍼스널 AI 에이전트’ 생태계를 구축하여 고객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황현식 대표는 “AI를 통해 새로운 연결 지점이 등장하고 이를 잇는 에이전트 서비스들이 나올 것”이라며 “고객의 모든 일상이 하나로 이어지는 서비스를 만들어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SK텔레콤의 AI 비서 ‘에이닷’은 실시간 통역 기능을 앞세워 2023년 9월 말 기준 가입자 560만 명을 확보했다. KT는 AI 통화 비서 앱을 검토 중이며, 2024년 2분기까지 오픈AI의 ‘GPT-4’ 기반 한국형 AI 모델 개발을 완료할 계획이다.
LGU+의 익시오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LGU+ 블로그에서 확인할 수 있다.
관련 콘텐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