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AI Report
  • 미국 주정부, AI 도입 가속화… 사이버보안·행정 효율성 제고에 주력

미국 주정부, AI 도입 가속화… 사이버보안·행정 효율성 제고에 주력

US AI roadmap
이미지 출처: 미드저니 생성

Artificial Intelligence in State Government IT Operations

이미지 출처: 미드저니 생성

미국 주정부들이 인공지능(AI) 도입을 가속화하고 있다.

미국 국가 기술 책임자 협회(NASTD- National Association of State Technology Directors)가 최근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미국 주 정부들은 AI를 활용해 업무 효율성을 높이고 대민 서비스를 개선하는 데 주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NASTD가 올해 5월 50개 주의 정보 기술을 총괄하는 조직을 대상으로 실시한 이번 조사에는 42개 주가 응답했다. 조사 결과, 설문에 응답한 주 정부의 67%가 이미 AI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작성했다고 밝혔다.

주정부들의 AI 활용 현황을 살펴보면, 응답자의 50%가 챗봇을 사용 중이며, 36%는 사무 생산성 향상에, 26%는 코드 개발에 AI를 활용하고 있다고 답했다. 또한 36%의 응답자가 현재 개념 증명(PoC) 단계에 있다고 밝혔다.

AI의 주요 활용 사례로는 사이버보안, 시민 포털, 데이터 관리/분석, 사무 효율성 등이 상위를 차지했다. 이어 개발 자동화, IT 서비스 관리, 인프라 자동화, 네트워크 관리/최적화, 조달/공급업체 관리 순으로 나타났다.

주정부의 AI 도입에 있어 주요 장애 요인으로는 예상되는 부작용(21%), 직원의 지식/기술 부족(21%), 예산/자금 문제(19%) 등이 비슷한 비중으로 지적됐다. 이 외에도 데이터 품질(14%)과 사이버보안 우려(12%)도 중요한 장애물로 꼽혔다.

내부 기능에서의 AI 활용도를 보면, 응답자의 69%가 사이버보안을 최우선 순위로 꼽았다. 이어 행정 프로세스(57%), 교통/인프라(38%) 순으로 나타났다.

대민 서비스 제공에 있어서는 교통/인프라(37%), 교육(34%), 의료(32%), 사회 서비스(32%), 노동/인력 개발(29%) 등 다양한 분야에서 AI가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AI 이니셔티브를 위한 자원 확보와 할당에 있어서는 직원 역량 강화(81%)가 가장 큰 과제로 지적됐으며, 예산 문제(79%)와 전반적인 인력 문제(62%)가 뒤를 이었다.

한 응답자는 “주 정부 운영에 AI를 도입한 것이 상황을 완전히 바꾸는 획기적인 변화였다. 데이터 관리, 시스템 보안, 서비스 제공 방식에서 상당한 개선을 보았다”고 밝혔다.

반면 다른 응답자는 “AI가 약속한 많은 부분을 아직 제대로 이행하지 못하고 있다. 거버넌스 프레임워크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제시된 많은 솔루션들이 기대만큼 완전히 기능하지 않거나 이미 대부분 사용 가능한 것들을 활용하고 있다”고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전반적으로 주정부들은 정책 수립, 태스크포스 구성, 중앙 IT 사무소의 목표와 미션에 AI를 맞추는 등 실사를 진행하고 있다. 일부 주에서는 우수센터와 혁신 연구소를 설립하고 있으며, AI 도구 사용에 대한 주 정부 직원 교육도 성공적인 AI 전략의 핵심으로 강조되고 있다.

NASTD의 보고서 원문은 링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본 기사는 클로드 3.5 Sonnet과 챗GPT-4o를 활용해 작성되었습니다. 




미국 주정부, AI 도입 가속화… 사이버보안·행정 효율성 제고에 주력 – AI 매터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