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AI Report
  • 2025년 세계 AI 시장 주도할 유망 스타트업 100개사 공개… 한국 기업 3곳은 어디?

2025년 세계 AI 시장 주도할 유망 스타트업 100개사 공개… 한국 기업 3곳은 어디?

2025 AI 100: The most promising artificial intelligence startups in the world
이미지 출처: 이디오그램 생성

2025 AI 100: The most promising artificial intelligence startups in the world


AI 인프라 기업이 주도하는 인공지능 스타트업 생태계, 미국 기업이 66%로 압도적

스타트업, 벤처 투자, 기술 트렌드에 관한 심층 데이터와 분석을 제공하는 미국 기반의 시장 정보 플랫폼 CB인사이츠(CBInsights)가 ‘세계에서 가장 유망한 인공지능 스타트업 100개사’를 발표했다. 해당 목록에서 인프라 부문 기업이 44개사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수직(Vertical) 산업 특화 기업은 37개사, 수평(Horizontal) 솔루션 기업은 19개사로 그 뒤를 이었다. 이번 분석 결과는 AI 산업 생태계에서 기반 기술을 제공하는 인프라 기업의 중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국가별로는 미국 기업이 66개사로 압도적인 우위를 보였으며, 영국(10개사), 프랑스(5개사), 독일(4개사), 한국과 캐나다(각 3개사)가 그 뒤를 이었다. 유럽과 아시아 지역 스타트업들도 점차 존재감을 키우고 있지만, 여전히 AI 혁신의 중심지는 미국임을 확인할 수 있다.

개발 및 학습 도구, 관측성 솔루션이 주목받는 AI 기술 분야

AI 스타트업들의 세부 카테고리를 살펴보면 개발 및 학습(Development & training) 도구를 제공하는 기업이 17개사로 가장 많았고, 관측성 및 평가(Observability & evaluation) 솔루션을 개발하는 기업이 13개사로 그 뒤를 이었다. 이는 기업들이 AI 모델의 개발부터 모니터링까지 전 과정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도구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인프라 기업들 중에서는 에이전트 구축 및 오케스트레이션(Agent building and orchestration)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이 8개사로 가장 많았으며, AI 관측성 플랫폼(AI observability platforms)이 7개사, 파운데이션 모델(Foundation models)이 6개사로 뒤를 이었다. 이는 생성형 AI가 기업 환경에 본격적으로 도입되면서 이를 효과적으로 구축, 관리, 모니터링하는 솔루션에 대한 필요성이 커지고 있음을 반영한다.

의료(Healthcare)와 생명과학(Life sciences) 분야는 각각 8개사와 6개사로 수직 산업 분야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이는 AI 기술이 의료 및 생명과학 분야에서 혁신을 주도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웨이브, 피규어, 사로닉이 최다 자금 조달, AI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 급성장

100개 유망 AI 스타트업의 총 자금 조달 규모는 약 116억 달러로, 기업당 평균 약 1억 1,731만 달러의 투자를 유치했다. 최대 자금 조달 기업은 웨이브(Wayve)로 약 13억 3,690만 달러를 유치했으며, 피규어(Figure)가 8억 5,400만 달러, 사로닉(Saronic)이 8억 3,000만 달러로 그 뒤를 이었다.

특히 피규어(Figure)와 앱트로닉(Apptronik) 같은 범용 휴머노이드 로봇(General-purpose humanoids) 기업들이 대규모 자금을 유치한 점이 주목할 만하다. 피규어는 8억 5,400만 달러, 앱트로닉은 4억 2,304만 달러의 투자를 받았으며, 이는 인공지능 기술이 물리적 로봇 시스템과 결합하면서 새로운 시장을 형성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투자 단계별로는 시리즈 A 단계 기업이 27개사로 가장 많았고, 시리즈 B가 15개사, 시드(Seed) 단계가 12개사로 뒤를 이었다. 이는 많은 AI 스타트업들이 초기 검증을 마치고 사업 확장 단계에 진입했음을 시사한다.

체인가드와 어라이즈, 모자이크 스코어 상위권에 포진… AI 기술 성숙도 지표 눈길

CB인사이츠의 모자이크(Mosaic) 스코어를 기준으로 가장 높은 평가를 받은 기업은 체인가드(Chainguard)로 928점을 기록했다. 어라이즈(Arize)와 투게더AI(Together AI)가 각각 919점으로 공동 2위를 차지했다. 모자이크 스코어는 기업의 성장 잠재력, 시장 강도, 자금 조달 이력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지표로, 높은 점수를 받은 기업들은 기술력과 비즈니스 모델 모두 뛰어난 평가를 받고 있다.

체인가드는 6억 1,200만 달러의 투자를 유치하며 모자이크 스코어 1위를 차지했는데, 이는 AI 기술 발전과 함께 보안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AI 시스템에 대한 보안 위협이 증가하면서 이를 방어하기 위한 기술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최근 자금 조달 트렌드를 살펴보면, 2025년 초부터 4월까지 다수의 기업들이 새로운 투자 라운드를 마쳤다. 특히 2025년 3월과 4월에 자금을 조달한 기업들 중에는 블랜드AI(Bland AI), 리얼리티 디펜더(Reality Defender), 문밸리(Moonvalley) 등이 있으며, 이들은 주로 고객 서비스, 사이버보안, 콘텐츠 생성 분야에 집중하고 있다.

한국 AI 기업 3개사 모두 인프라 분야 선도, 업스테이지·디노티티아·노타AI

CB인사이츠의 2025 AI 100 리스트에는 총 3개의 한국 기업이 이름을 올렸으며, 흥미롭게도 모두 인프라(Infrastructure)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한국 AI 스타트업들이 글로벌 AI 생태계의 기반 기술 영역에서 경쟁력을 인정받고 있음을 보여준다.

가장 많은 투자금을 유치한 기업은 업스테이지(Upstage)로, 파운데이션 모델(Foundation models) 개발에 집중하며 총 9,875만 달러의 투자를 받았다. 업스테이지는 박규희 창업자와 김성훈 CEO의 리더십 아래 모자이크 점수 849점을 기록했다. 주요 투자자로는 인터베스트, 컴퍼니케이파트너스, SBVA, 스톤브릿지벤처스, KT, SK네트웍스, 하나벤처스, 기업은행, 산업은행 등이 참여했다.

벡터 데이터베이스(Vector databases)를 전문으로 하는 디노티티아(Dnotitia)는 시드 라운드에서 2,585만 달러를 유치했으며, 모자이크 점수 855점으로 한국 기업 중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다. HB인베스트먼트, KB인베스트먼트, 코오롱인베스트먼트, SJ인베스트먼트파트너스, 토니인베스트먼트 등이 주요 투자자로 참여했다.

노타AI(Nota AI)는 엣지(Edge) 컴퓨팅 분야에서 4,538만 달러의 투자를 유치했으며, 모자이크 점수는 846점이다. 채명수 CEO가 이끄는 노타AI는 엔비디아 인셉션 프로그램, 제로원, 네이버 D2 스타트업 팩토리, 블루포인트파트너스, 삼성벤처스 등의 지원을 받았다.

이 세 기업 모두 모자이크 점수가 840점 이상으로 글로벌 시장에서의 기술적 경쟁력과 성장 잠재력을 높게 평가받고 있다. 특히 AI 인프라 분야에서의 성과는 한국이 차세대 AI 기술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임을 시사한다.

FAQ

Q: AI 인프라 기업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A: AI 인프라 기업은 다른 모든 AI 애플리케이션이 구축되는 기반 기술을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생성형 AI의 급속한 발전으로 기업들이 AI 모델을 개발, 배포, 모니터링하는 데 필요한 도구와 플랫폼에 대한 수요가 크게 증가했습니다. 특히 에이전트 구축, AI 관측성, 파운데이션 모델 등의 기술은 현재 AI 생태계 발전의 핵심 동력이 되고 있습니다.

Q: 모자이크 스코어란 무엇이며 왜 중요한가요?

A: 모자이크 스코어는 CB인사이츠가 개발한 알고리즘으로, 스타트업의 성장 잠재력과 경쟁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지표입니다. 이 스코어는 기업의 자금 조달 이력, 시장 상황, 투자자 질, 팀 구성 등 여러 요소를 분석하여 계산됩니다. 높은 모자이크 스코어를 받은 기업은 업계에서 주목받고 있으며, 체인가드나 어라이즈 같은 기업들이 높은 평가를 받은 것은 그들의 기술력과 비즈니스 모델이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Q: 휴머노이드 로봇 기업들이 대규모 투자를 받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A: 휴머노이드 로봇 기업들이 대규모 투자를 받는 이유는 AI와 로보틱스의 융합이 가져올 혁명적 변화에 대한 기대감 때문입니다. 피규어나 앱트로닉과 같은 기업들은 인간형 로봇에 고급 AI 기술을 접목하여 물류, 제조, 서비스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인간 노동력을 보완하거나 대체할 수 있는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특히 생성형 AI의 발전으로 이러한 로봇들이 더욱 정교하고 자연스러운 상호작용이 가능해지면서, 실용적인 상업적 응용이 가시화되고 있어 투자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해당 기사에서 인용한 리포트 원문은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미지 출처: CBInsights

기사는 클로드와 챗GPT를 활용해 작성되었습니다. 




2025년 세계 AI 시장 주도할 유망 스타트업 100개사 공개… 한국 기업 3곳은 어디? – AI 매터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