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ULT MEDIA LITERACY IN 2024: AUSTRALIAN ATTITUDES, EXPERIENCES AND NEEDS
이미지 출처: Dalle
호주 성인 10명 중 8명은 생성형 AI 등 새로운 기술에 대한 규제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호주 웨스턴 시드니대학교 연구팀이 최근 발표한 ‘2024년 호주 성인 미디어 리터러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74%가 “AI와 관련된 위험을 관리하기 위해 법과 규제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AI에 대한 우려도 높았다. 응답자의 54%는 “AI가 너무 빨리 개발되고 있어 걱정된다”고 답했으며, 40%는 “AI가 호주 사회에 해를 끼칠 것”이라고 응답했다.
반면 AI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AI가 흥미롭고 내 삶을 더 좋게 만들 것”이라는 응답은 28%에 그쳤다.
AI 사용 경험에도 격차가 있었다. 텍스트 기반 생성형 AI의 경우 18-29세 젊은층의 70%가 사용해본 적이 있다고 답한 반면, 70세 이상 고령층에서는 1%만이 사용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교육 수준에 따른 차이도 컸다. 고학력자의 21%가 텍스트 AI를 정기적으로 사용한다고 답한 반면, 저학력자 중에서는 4%만이 정기적으로 사용한다고 응답했다.
연구팀은 “AI 기술에 대한 이해도와 활용 능력의 격차가 계속 벌어질 수 있다”며 “모든 연령대와 계층을 대상으로 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호주 성인들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수요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82%가 “성인을 위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답했으며, 84%는 “학교에서 아이들을 대상으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특히 온라인 사기나 허위정보 식별 등 실용적인 미디어 활용 능력에 대한 교육 수요가 높았다. 응답자의 60%는 “온라인 사기와 유해 콘텐츠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방법”을, 51%는 “신뢰할 수 있는 뉴스를 찾는 방법”과 “허위정보를 식별하고 대응하는 방법”을 배우고 싶다고 답했다.
연구팀은 “호주 정부와 교육기관, 미디어 기업들이 협력해 종합적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웨스턴 시드니대학의 연구 결과는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
본 기사는 클로드 3.5 Sonnet과 챗GPT-4o를 활용해 작성되었습니다.
관련 콘텐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