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생성형 AI 앱 Top100 발표… 2년 반 만에 드러난 승자와 패자는?

The Top 100[Gen AI]Consumer Apps
이미지 출처: a16z

미국의 벤처 캐피털안드리센 호로위츠(Andreessen Horowitz)가 발표한 제5판 생성형 AI 소비자 앱 톱 100 리스트에 따르면, 2년 반간의 데이터를 통해 일상적인 AI 사용 패턴이 어떻게 진화하고 있는지 보여주고 있다. 이번 리스트의 가장 큰 변화는 생태계가 안정화되기 시작했다는 점이다. 웹 리스트에는 트래픽 증가로 인한 11개의 신규 진입자가 있었는데, 이는 2025년 3월 순위의 17개 신규 진입자보다 감소한 수치다.

The Top 100Gen AIConsumer Apps


구글이 챗GPT 독주 체제에 도전장… 제미나이 월 방문자 12% 달성

구글이 생성형 AI 시장에서 본격적인 경쟁에 나섰다. 이번 리스트에서 처음으로 구글의 네 가지 AI 제품이 개별적으로 순위에 진입했다. 구글의 대표 대화형 AI 어시스턴트인 제미나이(Gemini)는 웹에서 챗GPT 방문자 수의 약 12%에 해당하는 트래픽을 기록하며 2위를 차지했다.

구글 AI 스튜디오(AI Studio)는 개발자 지향 사이트로 톱 10에 진입했다. 이 사이트는 제미나이 모델을 활용한 구축을 시작할 수 있는 샌드박스를 호스팅하며, 제미나이 라이브(Gemini Live)와의 대화 및 스트리밍과 같은 멀티모달 모델을 포함한다. 노트북LM(NotebookLM)은 13위를 차지했으며, 구글 랩스에서 독립된 웹사이트로 호스팅되고 있다. 구글 랩스(Google Labs)는 39위에 랭크되었으며, 사용자들이 비디오 모델 비오 3(Veo 3)를 시도해 볼 수 있는 플로우(Flow)를 비롯해 다양한 앱을 호스팅한다.

모바일에서는 제미나이가 챗GPT에 훨씬 더 근접한 성과를 보이고 있다. 제미나이는 챗GPT 월간 활성 사용자(MAU)의 거의 절반에 해당하는 수치를 기록했다. 특히 안드로이드 기기에서 강력한 사용률을 보이며, MAU의 거의 90%가 안드로이드에서 발생하고 있어 챗GPT의 60%와 대조를 이룬다.

The Top 100Gen AIConsumer Apps

그록과 메타 AI도 경쟁 합류…X의 그록 2천만 사용자 돌파

X(구 트위터)의 AI 어시스턴트 그록(Grok)가 웹에서 4위, 모바일에서 23위를 기록하며 주목받고 있다. 그록은 2024년 말 앱이 없었던 상태에서 현재 2천만 명 이상의 월간 활성 사용자를 확보하는 놀라운 성장을 보였다. 2025년 7월 새로운 모델 그록 4(Grok 4) 출시와 함께 모바일 사용률이 거의 40% 증가했다. 그록 4는 뛰어난 추론 능력, 실시간 검색, 도구 통합 기능을 제공한다.

메타 AI는 상대적으로 더딘 성장을 보이고 있다. 웹에서 46위를 기록했으며 모바일 리스트에는 진입하지 못했다. 메타 AI는 2025년 5월 말에 출시되었지만 그록보다 훨씬 느린 상승세를 보였다. 특히 2025년 6월 일부 게시물이 공개 피드에 나타나는 사건 이후 성장이 둔화되었다. 일반 LLM 어시스턴트 경쟁에서 딥시크(DeepSeek)와 클로드(Claude)는 모바일에서 상당한 하락세를 보였으며, 딥시크는 정점 대비 22% 감소했다. 퍼플렉시티(Perplexity)는 그록과 함께 지속적인 강력한 성장을 보이고 있다.

중국 AI 기업들의 글로벌 진출…전체 모바일 앱 50개 중 22개가 중국 개발

중국에서 주로 사용되는 3개 기업이 웹 리스트 톱 20에 진입했다. 각각 중국어 웹사이트를 보유하고 있으며 트래픽의 75% 이상이 중국에서 발생한다. 여기에는 알리바바의 올인원 AI 어시스턴트 쿼크(Quark, 9위), 바이트댄스의 일반 LLM 제품 더우바오(Doubao, 12위), 스타트업 문샷 AI의 챗봇 키미(Kimi, 17위)가 포함된다.

중국은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인구를 보유한 국가이며, 챗GPT, 퍼플렉시티, 클로드 같은 중국 외 지역에서 개발된 많은 일반 LLM 어시스턴트에 대한 직접 접근이 차단되거나 제한되어 있다. 중국에서 운영하려는 AI 제공업체들은 등록 및 라이선스 취득이 필요하며, 이는 데이터를 현지에 호스팅하고 검열 및 콘텐츠 조정 규칙을 준수해야 함을 의미한다.

웹 리스트의 상당 부분이 중국에서 개발되어 현재 전 세계로 “수출”되고 있으며, 대부분의 사용이 다른 국가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도구 중 일부는 중국에서 차단되기도 한다. 공개 데이터에 따르면 딥시크, 하일루오(Hailuo), 클링(Kling), 시아트(SeaArt), 컷아웃 프로(Cutout Pro), 마누스(Manus), 모니카(Monica) 등 7개 추가 기업이 이 기준에 부합한다.

모바일 순위에서는 이 트렌드가 더욱 두드러진다. 50개 앱 중 약 22개가 중국에서 개발되었으며, 중국에서 주로 사용되는 앱은 3개에 불과하다. 특히 사진 및 비디오 카테고리에서 집중도가 높으며, 메이투(Meitu) 혼자서 5개 항목을 차지했다.

AI 코딩 플랫폼의 실제 사용자 확보…수익 유지율 100% 이상 달성

2025년 3월 마지막 순위에서 바이브 코딩(vibe coding)이 막 등장하기 시작했을 때는 웹 리스트에 볼트(Bolt)만 있었다. 현재 볼트는 브링크 리스트(절반의 기준선을 놓친 곳)에 있으며, 러버블(Lovable)과 리플릿(Replit)이 모두 메인 리스트에 진입했다.

바이브 코딩 사용이 일시적인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초기 데이터에 따르면 이러한 사용자들이 지속적으로 남아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신용카드 패널 제공업체 컨슈머 엣지(Consumer Edge)의 데이터에 따르면, 한 주요 바이브 코딩 플랫폼의 미국 기반 사용자 코호트는 가입 후 몇 개월 동안 100% 이상의 수익 유지율을 보인다. 이는 이탈하는 사용자를 포함하여 코호트가 월별 기준으로 전체 지출을 늘리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플랫폼들은 다른 AI 제품의 사용을 견인하고 있다. 리플릿과 러버블을 통해 구축되고 게시된 사이트들(사용자 정의 도메인 없이)은 각각 replit.app과 lovable.app의 트래픽으로 나타난다. 두 플랫폼 모두 자체적으로 상당한 트래픽을 보유하고 있지만(lovable.app의 트래픽은 리스트 톱 50에 랭크될 수 있었을 것), 빌더 페이스 사이트보다는 적은 트래픽을 기록한다.

FAQ (※ 이 FAQ는 본지가 리포트를 참고해 자체 작성한 내용입니다.)

Q1: 생성형 AI 앱 시장에서 구글이 챗GPT를 따라잡을 수 있을까요?

A1: 구글 제미나이는 웹에서 챗GPT 방문자의 12%를 기록하며 2위를 차지했고, 모바일에서는 챗GPT 사용자의 거의 절반에 해당하는 수치를 달성했습니다. 특히 안드로이드에서 90%의 높은 점유율을 보이며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어 격차를 좁혀가고 있습니다.

Q2: 바이브 코딩이란 무엇이고 왜 주목받고 있나요?

A2: 바이브 코딩은 AI를 활용해 코드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플랫폼을 의미합니다. 러버블과 리플릿 같은 서비스가 대표적이며, 사용자들의 수익 유지율이 100% 이상을 기록하는 등 실제로 지속 사용하는 고객들을 확보하고 있어 단순한 트렌드가 아닌 실질적인 시장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Q3: 중국 AI 기업들이 글로벌 시장에서 성공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A3: 중국은 비디오 AI 분야에 더 많은 연구자들이 집중되어 있고, 저작권 규제가 상대적으로 느슨해 광범위한 데이터로 훈련이 가능합니다. 모바일 앱 50개 중 22개가 중국에서 개발되었으며, 특히 사진 및 비디오 편집 분야에서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해당 기사에 인용된 리포트 원문은 A16Z에서 확인 가능하다.

리포트명: The Top 100[Gen AI]Consumer Apps

이미지 출처: a16z

해당 기사는 챗GPT와 클로드를 활용해 작성되었습니다.

딜라이트_AI매터스_PR & MKT 전문가를 위한 AI 활용 강의 상세 페이지 디자인_입문편_뉴스레터 배너



생성형 AI 앱 Top100 발표… 2년 반 만에 드러난 승자와 패자는? – AI 매터스 l AI Matt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