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AI Report
  • 생성형 AI 도입 속도, PC와 인터넷 앞질러… 성인 39% 사용

생성형 AI 도입 속도, PC와 인터넷 앞질러… 성인 39% 사용

The Rapid Adoption of Generative AI
이미지 출처: 미드저니 생성

The Rapid Adoption of Generative AI

직장내 사용률 28%, 매일 사용자 10% 넘어

생성형 AI가 미국 사회에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연방준비은행 세인트루이스 지점과 하버드 케네디 스쿨 연구팀이 2024년 8월 실시한 ‘실시간 인구조사(RPS)’ 결과에 따르면, 미국 성인의 39.4%가 생성형 AI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개인용 컴퓨터(PC)와 인터넷보다 빠른 보급 속도다.

조사 결과 18~64세 미국인의 39.4%가 생성형 AI를 사용했다고 답했다. 32%는 조사 직전 주에 한 번 이상 사용했고, 10.6%는 매일 사용한다고 밝혔다. 직장에서의 사용률은 28%로, 24.2%가 일주일에 한 번 이상, 10.6%가 매일 사용한다고 응답했다.

직장 밖에서의 사용률은 32.7%로 더 높았지만, 매일 사용한다는 비율은 6.4%로 낮았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생성형 AI 프로그램은 ChatGPT(28.5%)였고, 구글 제미니(16.3%)가 뒤를 이었다.

젊고 고학력일수록 사용률 높아… 남성이 여성보다 9%p 높아

생성형 AI 사용률은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남성(32%)이 여성(23%)보다 9%p 높았고, 40세 미만(34%)이 50세 이상(17%)보다 두 배 가량 높았다. 학력별로는 대졸 이상(40%)이 대졸 미만(20%)의 두 배 수준이었다.

전공별로는 과학·기술·공학·수학(STEM) 전공자의 사용률이 46%로 가장 높았고, 경영·경제·커뮤니케이션 전공자(40%), 기타 전공자(22%) 순이었다.

직종별로는 컴퓨터·수학(49.6%)과 경영(49%) 분야에서 가장 많이 사용했다. 주목할 만한 점은 생산직 등 ‘블루칼라’ 직종 종사자의 22%도 생성형 AI를 업무에 활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생성형 AI가 특정 직종에 국한되지 않고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PC·인터넷보다 빠른 보급 속도… “범용 기술로 자리잡을 것”

연구팀은 생성형 AI의 보급 속도를 PC와 인터넷과 비교했다. 첫 대중 제품 출시 이후 2년 시점에서 생성형 AI의 사용률은 39.5%로, 같은 시점 인터넷(20%)과 3년 시점 PC(20%) 사용률을 크게 앞섰다.

연구를 주도한 알렉산더 빅 세인트루이스 연방준비은행 이코노미스트는 “생성형 AI가 PC와 인터넷에 이어 새로운 범용 기술로 자리잡을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그는 “다양한 직종과 업무에서 폭넓게 활용되고 있어 향후 경제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양한 업무에 활용… 글쓰기·관리 업무 등에 도움

생성형 AI는 다양한 업무에 활용되고 있다. 지난주 생성형 AI를 사용했다고 답한 응답자들을 대상으로 가장 도움이 되는 업무를 조사한 결과, 글쓰기(38%), 관리 업무(27%), 텍스트나 데이터 해석/번역/요약(23%)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10개의 주요 업무 중 8개에서 응답자의 10% 이상이 생성형 AI가 가장 도움이 된다고 답했다”며 “이는 생성형 AI가 다양한 업무에 폭넓게 활용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직장 밖에서는 글쓰기(27%), 텍스트나 데이터 해석/번역/요약(23%), 개인 보조(21%) 순으로 활용도가 높았다. 여기서도 11개 업무 중 8개에서 10% 이상의 응답자가 생성형 AI가 가장 도움이 된다고 답했다.

노동생산성 0.125~0.875%p 높일 것으로 추정

연구팀은 생성형 AI 사용으로 인한 노동생산성 증가 효과도 추정했다. 전체 근로시간의 0.5~3.5%가 생성형 AI의 도움을 받고 있으며, 이를 통해 노동생산성이 0.125~0.875%p 높아질 것으로 분석했다.

이는 최근 실험 연구들에서 나타난 생산성 향상 효과의 중간값인 25%를 적용한 결과다. 다만 연구팀은 “이는 매우 추정적인 계산”이라며 신중한 해석을 당부했다.

연구팀은 “초기 단계에서 가장 생산적인 용도로 사용되고 있어 향후 사용이 확대될수록 수확체감이 나타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반면 “기술이 발전하고 적용 범위가 넓어지면서 생산성 향상 효과가 더 커질 가능성도 있다”고 덧붙였다.

PC·인터넷과 유사한 패턴… 불평등 심화 우려도

생성형 AI의 도입 패턴은 PC와 인터넷의 초기 도입 패턴과 유사한 점이 많았다. 특히 교육 수준과 소득 수준에 따른 사용률 격차가 뚜렷했다. 이는 PC 혁명이 불평등 심화로 이어졌던 점을 고려할 때, 생성형 AI도 비슷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

다만 성별 격차의 경우 PC와는 다른 양상을 보였다. 생성형 AI는 남성의 사용률이 높은 반면, PC는 초기에 여성의 사용률이 더 높았다. 연구팀은 이를 “타자기에서 워드프로세서로의 전환과 비서 등 행정직의 여성 비율이 높았던 점” 때문으로 분석했다.

연구팀은 “생성형 AI가 진정한 의미의 범용 기술로 자리잡고 있다”며 “향후 생성형 AI의 도입 속도와 강도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근로자, 기업, 직종 전반에 걸친 확산 여부를 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생성형 AI가 미국 경제와 사회에 미칠 잠재적 영향력을 보여준다. 빠른 도입 속도와 광범위한 활용은 생성형 AI가 향후 노동 시장과 경제 구조에 큰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음을 시사한다. 다만 기술 도입에 따른 불평등 심화 가능성 등 부작용에 대한 대비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기사에 인용된 리포트 원문은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

기사는 클로드 3.5 Sonnet과 챗GPT-4o를 활용해 작성되었습니다. 




생성형 AI 도입 속도, PC와 인터넷 앞질러… 성인 39% 사용 – AI 매터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