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BOUNDED: A GENERATIVE INFINITE GAME OF CHARACTER LIFE SIMULATION
구글이 생성형 AI를 활용해 무한한 가상 세계를 만들어내는 게임 ‘언바운디드(UNBOUNDED)’를 공개했다. 이는 전통적인 게임의 한계를 뛰어넘어 AI가 실시간으로 새로운 세계와 스토리를 만들어내는 혁신적인 시도로 평가받고 있다.
생성형 AI로 구현하는 무한한 게임 세계
연구를 주도한 지알루 리(Jialu Li) 연구원은 “언바운디드는 전통적인 게임의 경계를 허물고 무한한 가능성을 열어주는 새로운 패러다임”이라며 “대규모 언어 모델과 이미지 생성 AI를 결합해 사용자 맞춤형 세계를 실시간으로 만들어낼 수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이 게임은 기존의 샌드박스형 생활 시뮬레이션과 디지털 펫 게임에서 영감을 받아 개발됐다. 던전앤드래곤과 같은 테이블톱 롤플레잉 게임의 자유로운 스토리텔링 요소도 접목했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혁신적인 기술적 성과
언바운디드의 핵심은 두 가지 기술적 혁신에 있다. 첫째는 Gemma-2B를 기반으로 한 특화된 대규모 언어 모델(LLM)이다. 이 모델은 게임 메커니즘과 스토리를 실시간으로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주목할 만한 점은 이 모델이 두 개의 강력한 LLM이 자동으로 생성한 데이터로 학습됐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인간의 개입 없이도 높은 수준의 스토리텔링이 가능해졌다.
둘째는 ‘Regional IP-Adapter’라는 새로운 이미지 생성 기술이다. 이 기술은 캐릭터와 환경을 일관성 있게 생성하면서도 유연한 시각적 표현이 가능하도록 한다. 특히 동적 마스크 기능을 도입해 캐릭터와 환경 간의 간섭을 최소화하고, 각각의 요소가 자연스럽게 어우러지도록 했다.
실시간 상호작용이 가능한 게임 구현
언바운디드의 가장 큰 특징은 1초 내외의 빠른 반응 속도로 실시간 상호작용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사용자는 자신만의 캐릭터를 만들고, 자연어로 대화하며 캐릭터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AI는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새로운 환경과 스토리를 즉시 생성한다.
“전통적인 게임은 미리 정해진 규칙과 시나리오 안에서만 움직입니다”라고 리 연구원은 말했다. “하지만 언바운디드에서는 AI가 실시간으로 새로운 세계를 만들어내기 때문에 진정한 의미의 무한한 게임 플레이가 가능합니다.”
성능 검증과 기술적 우수성
연구팀은 다양한 벤치마크 테스트를 통해 언바운디드의 성능을 검증했다. 캐릭터와 환경의 일관성 유지 측면에서 기존 방식을 크게 앞서는 성능을 보여줬다. 특히 CLIP-I, DINO, DreamSim 등 여러 평가 지표에서 우수한 결과를 기록했다.
실시간 상호작용 성능도 인상적이다. LCM(Latent Consistency Models)을 활용해 고해상도 이미지를 단 두 번의 확산 단계로 생성할 수 있게 됐다. 이를 통해 1초 내외의 빠른 응답 속도를 실현했다.
스토리텔링과 캐릭터 상호작용 면에서도 뛰어난 성능을 보였다. GPT-4와의 비교 평가에서 캐릭터 상태 업데이트 정확도, 환경 관련성, 스토리 일관성, 사용자 지시 이행 등 모든 부문에서 높은 점수를 획득했다.
향후 발전 방향과 의의
구글 측은 언바운디드가 게임 산업의 새로운 지평을 열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는 단순한 기술 시연을 넘어 게임의 본질적인 경험을 재정의하는 시도”라고 연구팀은 밝혔다.
향후 연구팀은 더 다양한 캐릭터와 환경 생성 능력을 강화하고,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는데 집중할 계획이다. 특히 캐릭터의 일관성 유지와 환경과의 자연스러운 상호작용을 더욱 발전시키는 것이 주요 목표다.
또한 게임 커뮤니티와의 협력을 통해 플랫폼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갈 예정이다. 연구팀은 “언바운디드는 AI 기술이 만들어낼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엔터테인먼트의 시작”이라며 “앞으로도 계속해서 혁신을 이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기사에 인용된 리포트 원문은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
기사는 클로드 3.5 Sonnet과 챗GPT-4o를 활용해 작성되었습니다.
관련 콘텐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