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t the Trailhead: The State and Future of AI in Higher Education
AI 활용도와 긍정적 인식 동반 상승
교육 전문기업 센게이지(Cengage)가 최근 발표한 ‘고등교육의 AI 현황과 미래’ 보고서를 통해 고등교육 현장에서의 AI 활용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음이 확인됐다. 967명의 대학 강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생성형 AI 사용률은 2023년 24%에서 2024년 45%로 2배 가까이 증가했다. 주목할 만한 점은 생성형 AI에 대한 긍정적 인식 역시 2023년 28%에서 2024년 49%로 크게 상승했다는 것이다. 특히 응답자의 90%는 생성형 AI 기술이 향후 교육 현장에서 더욱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전망했는데, 이는 전년도 73%에서 큰 폭으로 증가한 수치다.
AI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 확대
교수진들은 AI의 교육적 활용 가치에 대해 높은 기대감을 보였다. 응답자의 63%는 AI가 학생들의 수업 참여도를 개선할 수 있다고 응답했으며, 71%는 AI가 평생학습을 지원할 수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AI의 주요 활용 분야는 크게 다섯 가지로 나타났다.
첫째, 개인 맞춤형 학습 지원이다. AI는 학생들의 학습 패턴과 평가 결과를 분석해 각 학생의 강점과 약점, 필요사항을 빠르게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맞춤형 학습 경로를 제시할 수 있다. 특히 63%의 교수진은 학생들에게 정확한 정보를 적시에 제공할 수 있는 AI 기반 챗봇에 높은 관심을 보였다.
둘째, 수업 계획 수립 지원이다. 교수진들은 전체 근무 시간의 28%를 수업 준비에 할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I는 이러한 준비 시간을 줄이고, 교수진이 학생들과의 직접적인 소통이나 연구에 더 많은 시간을 투자할 수 있게 돕는다.
셋째, 행정업무 효율화다. 사무시간 일정 관리, 일상적인 문의 응답, 그룹 과제 피드백 제공 등 다양한 행정업무를 AI가 지원할 수 있다. 2023년 조사에서 58%의 교수진이 행정업무에 AI를 활용하고 싶다고 응답했으며, 10%는 이미 활용 중이라고 답했다.
넷째, 교실 참여도 향상이다. AI는 슬라이드 디자인 개선, 강의 피드백 제공, 팝 컬처를 활용한 수업 자료 제작 등을 통해 학생들의 참여도를 높일 수 있다.
다섯째, 평가 실시 지원이다. AI는 더 강력하고 부정행위를 방지할 수 있는 시험을 개발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학생들의 학업 수준에 따른 맞춤형 평가 경로를 제시할 수 있다.
여전히 남아있는 우려사항들
AI 활용 확대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는 한편, 우려의 목소리도 여전했다. 응답자의 89%는 교육 현장에서의 AI 활용이 중대한 위험을 수반할 수 있다고 답했다. 가장 큰 우려사항은 학문적 성실성(82%)으로, 부정행위와 표절 가능성이 지적됐다. 이어서 AI 편향성(40%), 악의적 활용(34%), 데이터 프라이버시(29%), 훈련 데이터의 윤리성(28%), 기술 의존도 심화(26%), 일자리 감소(16%), 사이버보안(14%) 등이 주요 우려사항으로 나타났다.
특히 일부 교수진은 AI가 학생들의 학습 능력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한 시간강사는 “학생들이 글쓰기와 공부를 배우는 대신 AI에 의존하면 배우는 것이 줄어든다”며 “이는 마치 아이들이 더하기와 빼기의 의미를 알기도 전에 계산기를 주는 것과 같다”고 지적했다.
교육기관의 지원체계 구축 필요성 제기
교수진들은 AI 활용을 위한 기관 차원의 체계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구체적으로는 기관과 전문단체의 명확한 기준 설정, AI 거버넌스 구축, 교재와 교육자료에 AI 통합, 최신 AI 동향에 대한 정기적인 업데이트 등이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3%의 교수진은 AI 도입을 위한 추가적인 교육과 지원이 절실하다고 응답했다.
애리조나의 한 조교수는 “좋든 싫든 AI는 이미 우리의 일상생활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그 영향은 더욱 커질 것”이라며 “우리가 AI의 잠재력을 현명하게 활용하는 동시에 잠재적 피해를 신중하게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기사에 인용된 리포트 원문은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
기사는 클로드 3.5 Sonnet과 챗GPT-4o를 활용해 작성되었습니다.
관련 콘텐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