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AI Report
  • 대학생 85%, STEM 교육에서 생성형 AI 활용하지만 학습 효과는 의문

대학생 85%, STEM 교육에서 생성형 AI 활용하지만 학습 효과는 의문

AI Matters 기사 썸네일 Dynamic Prompt Middleware
이미지 출처: 미드저니 생성

Scaffold or Crutch? Examining College Students’ Use and Views of Generative AI Tools for STEM Education

스탠포드대학교(Stanford University) 연구진이 미국 전역 40명의 이공계(STEM) 대학생과 28명의 교수진을 대상으로 실시한 연구 결과, 대학생들의 생성형 AI 사용률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85%가 STEM 수업에서 생성형 AI를 활용하고 있었으며, 챗GPT(ChatGPT)가 가장 많이 사용되는 도구로 확인되었다.

Stem Edu
이미지 출처: Stanford University

학습보다는 시간 절약 목적으로 활용

연구에 따르면 학생들이 생성형 AI를 활용하는 주된 이유는 시간 절약(50%)이었다. 주요 사용 용도는 개념 설명 찾기(75%), 관련 주제 탐색(62.5%), 논문 요약(60%) 등이었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절반 이상의 학생들이 문제 해결 과정에서 직접적인 답안 생성을 위해 AI를 활용한다는 것이다.

Stem Edu (2)
이미지 출처: Stanford University

교수진과 학생들 간 인식 차이 뚜렷

교수진들은 생성형 AI의 교육적 활용에 대해 더욱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교수진의 3분의 1 미만만이 STEM 문제 해결 과정에서 AI 활용을 권장했으며, 특히 계산 지원(7%)이나 답안 검증(11%) 용도로의 사용을 매우 제한적으로 추천했다. 반면 학생들의 82.5%는 물리학 개념 설명에 AI가 도움이 된다고 평가했다.

Stem Edu (3)
이미지 출처: Stanford University

AI 활용의 장단점에 대한 우려 공존

연구진은 생성형 AI가 개인화된 학습 지원과 자원 제공이라는 장점이 있지만, 오정보 전달(교수진 67%, 학생 49%가 우려)과 학습 품질 저하 위험(교수진 50%, 학생 16%가 우려)이라는 과제도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무료 버전 AI 도구의 높은 의존도가 정보의 정확성과 교육 형평성 측면에서 문제가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기사에 인용된 리포트의 원문은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

기사는 클로드 3.5 Sonnet과 챗GPT-4o를 활용해 작성되었습니다. 




대학생 85%, STEM 교육에서 생성형 AI 활용하지만 학습 효과는 의문 – AI 매터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