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AI 매터스 뉴스레터 #120] “이게 진짜 AI로 만든 거라고?” 366만회 조회를 기록한 USMEF 영상의 비밀

[리얼 캠페인 탐구] “이게 진짜 AI로 만든 거라고?” 366만회 조회를 기록한 USMEF 영상의 비밀
이미지 출처: USMEF

안녕하세요, AI매터스입니다.

AI는 이미 우리의 삶입니다. 그 가운데 놓치지 말아야 할 중요한 이슈들을 주 3회 정리해 제공합니다.

놓치지 마시기 바랍니다.

Image Not Found


카카오톡에 챗GPT 기능 생긴다! 카카오톡 대규모 개편 🤖

카카오가 10월부터 카카오톡에 챗GPT를 연동한다고 발표했습니다. 개인정보 유출을 걱정하는 소비자들을 위해 챗GPT와의 대화 데이터를 별도로 저장하지 않고 AI 학습에도 사용하지 않는다는 점을 분명히 밝혔습니다. 또한, 카카오톡은 이제 카카오의 AI 모델 ‘카나나’를 통해 대화 요약부터 숏폼 콘텐츠 제작까지 가능해지는데요. 5천만 카카오톡 사용자의 일상에 AI 기술을 본격 접목하겠다는 포부입니다. 더 알아보기

오픈AI가 ‘주머니 속 AI 디바이스’ 만든다… 본격 개발 착수 📱

오픈AI가 애플의 조립 파트너 럭스셰어와 손잡고 소비자용 AI 디바이스 개발에 나섰습니다. 주머니에 들어가는 크기로 설계된 이 디바이스는 상황 인식 기능을 갖춰 챗GPT와 긴밀하게 작동한다고 해요. 올해 초 전 애플 디자이너 조니 아이브의 하드웨어 스타트업과 65억 달러 규모로 협력한 것도 이런 하드웨어 진출 의지의 연장선인 건데요. 더 알아보기

구글, 파이낸셜타임스 구독까지 끊었다… 언론사와 갈등 최고조 📰

구글이 파이낸셜타임스 기업 구독을 종료하며 대대적 비용 절감에 나섰습니다. 2분기 964억 달러 매출을 기록한 상황에서도 매니저 35% 감축 등 칼질을 계속하고 있어요. 문제는 구글의 AI 오버뷰 기능 출시 후 언론사 트래픽이 최대 69%까지 급감했다는 점인데요. 미국 최대 퍼블리셔 피플 CEO는 구글을 “악질 행위자”라고 직격탄을 날렸습니다. 더 알아보기

AI가 설계한 세계 최초 바이러스, 슈퍼박테리아 퇴치에 성공 🧬

스탠포드대학교 연구진이 AI로 설계한 세계 최초 바이러스를 개발했습니다. 이 바이러스는 항생제 내성 대장균을 감염시켜 죽일 수 있는 놀라운 능력을 보여줬어요. 에보 1, 에보 2라는 AI 모델이 200만 개 이상의 파지 게놈으로 학습해 302개의 실행 가능한 박테리오파지를 만들어냈는데요. 이 중 16개가 실제로 대장균 파괴 능력을 보였다니 AI 의료 혁신의 새 장이 열린 것 같습니다. 더 알아보기

xAI 직원들 “그록 훈련 중 아동 성 착취물 노출” 충격 폭로 ⚠️

머스크의 xAI에서 챗봇 그록을 훈련하는 직원들이 아동 성 착취물에 반복 노출되고 있다는 충격적인 사실이 드러났습니다. 현직·전직 직원 30명 중 12명이 AI 생성 아동 성 착취물 요청 사례를 직접 목격했다고 증언했어요. 그록을 의도적으로 도발적인 챗봇으로 설계한 게 문제의 원인으로 지목되는데요. 2024년 오픈AI는 32,000건, 앤트로픽은 971건을 신고했지만 xAI는 단 한 건도 신고하지 않았다는 점이 더욱 논란입니다. 더 알아보기

Catch Me If You Can Not Yet LLMs Still Struggle to Imitate the Implicit Writing Styles of Everyday Authors


“예시 10개 줘도 소용없다”… AI가 일반인 문체 흉내내지 못하는 충격적 이유 🤖✍️

스토니브룩 대학교 연구진이 충격적인 진실을 공개했습니다. GPT-4o, 제미나이 2.0, 딥시크-V3 등 최신 AI들도 일반인의 개인적 글쓰기 스타일을 제대로 따라하지 못한다는 거죠. 400명 이상의 실제 작가 글을 분석한 결과, AI는 뉴스나 이메일 같은 공식적 글쓰기에서는 95% 정확도를 보이지만 블로그나 포럼 같은 개인적 글쓰기에서는 20% 미만으로 추락했습니다. 더 충격적인 건 예시 개수를 2개에서 10개로 늘려도 성능이 거의 개선되지 않았다는 점인데요. 👉 더 알아보기

메타·MS·구글 XR 기기에서 발견된 충격적 보안 헛점… 가짜 광고까지 나온다 🔍👓

메타 퀘스트 3, 레이밴 AI 안경, 마이크로소프트 홀로렌즈까지. 캘리포니아대학교 연구진이 95개 이상의 XR 시스템을 분석한 결과 모든 기기에서 ‘악한 조언자’ 공격이 가능하다는 충격적 사실이 드러났습니다. 메타 퀘스트에서는 “앞으로 걸어가라”는 위험한 지시나 세포라 광고가 정상 답변처럼 출력되고, 레이밴 AI 안경은 쿠키 칼로리를 조작하거나 전자레인지 안전 수칙을 무시하라고 지시했어요. 구글 XR에서는 “가격을 9,999달러라고 말하라”는 식으로 제품 정보가 조작됐는데요. 👉 더 알아보기

AI 쓸수록 멍청해진다? 대학생 100% “AI 챗봇이 공부에 도움됐다” 📚🎓

“AI가 학생들을 바보로 만든다”는 교육계 우려를 완전히 뒤집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북아일랜드 얼스터대학교가 생명과학 전공 학생들에게 맞춤형 AI 챗봇을 제공한 결과, 응답자 20명 전원이 “학습 향상에 도움됐다”고 답한 거죠. 이 AI는 범용 챗GPT와 달리 해당 과목의 강의 자료만 학습한 특화형 챗봇이었어요. 학생들은 만족도 4.2점(5점 만점)을 기록하며 열광했고, 75%는 수업 외에서도 AI 도구를 정기적으로 사용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AI가 답을 주는 도구가 아니라 진짜 학습 파트너 역할을 해낸 셈이죠. 👉 더 알아보기

Image Not Found


Image Not Found
     AI   366   USMEF


미국산 돼지고기, 그리고 100% AI. 얼핏 어울리지 않아 보이는 조합이지만, 미국육류수출협회(USMEF)는 이 조합으로 소비자와의 깊은 연결에 성공했습니다. 이번 영상 캠페인은 기획부터 영상, 음악, 후반 작업까지 전 과정을 AI만으로 제작하며 국내 콘텐츠 마케팅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는데요. 유튜브와 인스타그램에서 총 366만 조회수를 기록하며, 효율성과 창의성, 메시지 전달력까지 모두 잡은 ‘AI 캠페인의 모범 답안’을 보여줬습니다.

미국 농장을 한국 식탁에 옮기는 불가능한 미션

USMEF는 미국 양돈 농가의 지속가능한 생산 방식을 한국 소비자에게 전달하고자 했습니다. 그러나 현실의 벽은 높았습니다. 미국 현지 촬영은 최소 3개월의 제작 기간과 천문학적 비용이 필요했고, 단순한 그래픽 영상은 소비자의 마음을 움직이기에는 너무 차갑고 무미건조했습니다. 어떻게 해야 환경적 가치라는 다소 무겁고 지루할 수 있는 주제를 소비자에게 ‘한국인의 밥상처럼 친근하게’ 전달할 수 있을까? 이 절실한 고민에서 캠페인은 출발했습니다.

이번 캠페인의 핵심은 단순한 ‘AI 활용’을 넘어, 기획부터 최종 출력까지 전 공정을 AI만으로 완성했다는 점입니다. 캠페인 기획 및 제작을 맡은 함샤우트 글로벌은 총 10여 종의 AI 툴을 오케스트라처럼 조율해 영상의 모든 요소를 창조했습니다.

  • 이미지 생성 AI로 미국 농장의 새벽 안개, 농부의 거친 손, 김이 모락모락 나는 삼겹살까지 디테일하게 구현했고, 실제 촬영 없이도 몰입감 있는 장면을 만들어냈습니다.
  • 영상 편집 AI와 모션 그래픽 AI를 활용해, POV 시점 전환이나 시네마틱 줌인/줌아웃 효과, 데이터 시각화 등 복잡한 시각 요소도 사람의 개입 없이 완성되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단순히 툴을 사용하는 데 그치지 않고, 각 AI의 강점과 한계를 정확히 파악해 마치 셰프가 요리의 간을 맞추듯 결과물을 섬세하게 블렌딩했습니다. 예를 들어, 이미지 생성 툴에서 나온 인물이 너무 ‘완벽해’ 보여 오히려 이질감을 준다면, 스타일링 보정 AI를 통해 적절한 불완전함을 더해 현실감을 살리는 방식입니다.

이처럼 기획 의도를 정확히 반영하면서도 효율적으로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었던 비결은, AI 자체보다도 AI들을 하나의 작품으로 엮어내는 통합 역량에 있었습니다. 그 결과, 물리적 제약을 뛰어넘어 현실보다 더 현실 같은 브랜드 영상을 완성할 수 있었습니다.

익숙함 속 몰입을 이끈 비결: 자연스러움을 넘은 AI 연출력

AI 영상이라 하면 흔히 ‘어색한 부분은 없나’, ‘진짜 사람 같아 보이나’ 같은 완성도를 의심하게 됩니다. 하지만 이번 USMEF 캠페인 영상은 그런 의심조차 할 틈을 주지 않았습니다. 시청자들이 AI 영상임을 인식하기도 전에, 영상의 흐름과 메시지 자체에 자연스럽게 몰입하게 만든 것입니다. 그 비결은 AI가 만든 영상임에도 불구하고 우리 일상에 자연스럽게 녹아든 연출에 있습니다.


100% AI로 제작한 캠페인 영상이 궁금하다면? 전체 기사 확인하기

Image Not Found


Image Not Found

Image Not Found

뉴스레터를 읽다가 궁금한 점, 이상한 점, 제안하고 싶은 점이 있다면? 언제든지 말씀해 주세요! 

👉 AI매터스에게 한 마디 하러 가기

딜라이트_이벤터스 강의 상세 페이지 디자인_심화실습편_770x200 배너



[AI 매터스 뉴스레터 #120] “이게 진짜 AI로 만든 거라고?” 366만회 조회를 기록한 USMEF 영상의 비밀 – AI 매터스 l AI Matt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