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생성형 AI 기술 기업들이 계속해서 새로운 모델과 오픈소스, 고급 AI 기능들을 공개하는 가운데 가장 주목 받고 있는 부분은 바로 ‘딥 리서치(Deep Research)’ 기능입니다. 이는 방대한 양의 정보를 빠르게 분석해 전문가 수준의 보고서를 생성하는 기술로, 최근 주요 AI 기업들이 앞다투어 이 서비스를 출시하면서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습니다. 무료로 딥 리서치 기능을 제공해 가장 많이 알려진 퍼플렉시티, 챗GPT, 그록3, 젠스파크 네 플랫폼의 딥 리서치 기능을 비교해 보겠습니다.
퍼플렉시티: 무료 사용자도 누릴 수 있는 프리미엄 기능
퍼플렉시티는 지난 2월 15일 딥 리서치 기능을 공개했습니다. 금융, 마케팅, 제품 연구 등 다양한 전문 분야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여주고 있으며, “Humanity’s Last Exam” 테스트에서 21.1%라는 높은 점수를 기록해 기술력을 입증했습니다. 관련기사 보기
가장 큰 장점은 무료 계정 사용자도 하루 5회까지 이용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Pro 사용자의 경우 일일 500회까지 사용 가능합닏. 사용 방법도 간단한데요, 퍼플렉시티 웹사이트 검색창의 모드 옵션에서 “심층 연구(Deep Research)”를 선택한 후 질문을 입력하기만 하면 됩니다. 현재는 웹에서만 사용 가능하지만, 조만간 iOS, Android, Mac 앱에도 추가될 예정이라 접근성이 더욱 향상될 전망입니다.
챗GPT: 유료 구독자를 위한 고급 연구 도구
오픈AI는 2월 25일부터 챗GPT의 딥 리서치 기능을 모든 유료 구독자에게 확대 제공하기 시작했습니다. 이전에는 월 $200의 프로페셔널 구독자에게만 제한적으로 제공되던 기능이 이제 ChatGPT Plus, Team, Enterprise, Edu 구독자 모두에게 열렸습니다. 관련기사 보기
Plus 구독자는 월 10회, 프로페셔널 구독자는 월 120회까지 딥 리서치 쿼리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오픈AI 측은 이 기능이 “현재 매우 컴퓨팅 집약적”이라는 이유로 당분간 무료 사용자에게는 제공할 계획이 없다고 밝혔습니다.
챗GPT의 딥 리서치는 인터넷에서 수천 개의 소스를 검색하고 분석해 독창적인 연구 문서를 작성합니다. 보고서 생성에는 복잡성에 따라 5분에서 1시간 이상까지 소요될 수 있고요. 최근 업데이트를 통해 이미지 삽입 및 인용 기능과 사용자 업로드 파일 분석 능력이 크게 향상되었습니다.
그록3: X 플랫폼과 연계한 실시간 정보 분석의 강자
일론 머스크의 xAI가 개발한 그록3는 ‘딥서치(DeepSearch)’라는 이름으로 유사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그록3의 가장 큰 차별점은 인터넷과 X 플랫폼의 실시간 정보를 포함한 방대한 데이터에 접근하고 분석할 수 있는 능력입니다. 관련 기사 보기
그록3의 딥서치는 단순한 정보 검색을 넘어 맥락을 인식하고 잘 설명된 추론을 제공합니다. X 플랫폼과의 연결을 통해 현재 이벤트와 트렌드에 실시간으로 접근하고 통합하는 데 있어 타 플랫폼보다 우위를 점하고 있으며, 정보를 거의 즉각적으로 확인하고 수정할 수 있습니다.
뉴스, 시장 동향, 기술 연구 및 사실 확인 작업에 특히 적합하며, 포괄적인 배경 맥락과 최신 통찰력을 필요로 하는 전문가들에게 유용한 도구입니다.
젠스파크: 하루 한 번, 무료로 체험하는 심층 연구
젠스파크의 딥 리서치 기능은 올해 1월에 출시된 AI 기반 검색 및 연구 서비스로, 여러 AI 모델의 능력을 통합해 사용자에게 심층적인 정보를 제공합니다. 관련 기사 보기
이 기능은 사용자의 쿼리에 대해 최대 30분까지 소요되며, 이 시간 동안 1,000개 이상의 출처에서 100만 단어 이상의 정보를 분석합니다. 이를 통해 일반 검색보다 더 포괄적이고 심층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현재 젠스파크는 무료 사용자에게 하루 1회 심층 연구 기능을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어, 직접 취합하기 어려운 방대한 자료를 바탕으로 깊이 있는 보고서가 필요한 경우 부담 없이 시도해볼 수 있습니다.
“홍콩 관광 산업 현황과 한국 여행객 유치 방안” 보고서 작성 비교 분석
네 개의 플랫폼에 동일한 프롬프트인 “홍콩 관광산업의 현황과 한국 여행객 유치 방안”을 입력하고 딥 리서치 기능을 테스트해봤습니다. 그결과, 각 플랫폼은 동일한 주제에 대해 상당히 다른 접근 방식과 결과물을 보여주었습니다.

퍼플렉시티는 40개의 출처를 기반으로 가장 간결하게 핵심만 정리했습니다. 특히 핵심 통계 데이터와 트렌드를 중심으로 명확한 구조를 가진 보고서를 제공했으며, 검색 결과를 비교적 빠르게 얻을 수 있었습니다. 불필요한 세부 사항 없이 핵심 요약이 필요한 비즈니스 상황에 적합합니다. 퍼플렉시티 분석 리포트 바로가기
챗GPT의 심층 리서치는 상대적으로 적은 27개의 출처만 활용했지만, 가장 많은 분량(A4 9매/3000단어)의 보고서를 생성했습니다. 이는 챗GPT가 각 출처에서 광범위한 정보를 추출하고 풍부한 맥락과 배경 설명을 추가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인용한 자료의 내용을 깊이 있게 분석하고 확장하여 구체적인 예시와 응용 방안까지 제시하는 점이 특징적이었습니다. 포괄적인 이해와 상세한 분석이 필요한 학술 연구나 정책 보고서에 적합합니다.
그록은 138개의 출처를 가장 빠른 속도로 분석하여 A4 6매 분량의 보고서를 작성했습니다. X 플랫폼과의 연계를 통해 최신 트렌드와 실시간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반영했으며, 시각적으로 구분이 잘 되는 직관적인 구조의 보고서를 제공했습니다. 홍콩 관광 산업의 최근 변화와 한국 여행객의 최신 선호도를 잘 포착했으며, 빠른 의사결정이 필요한 마케팅 전략 수립이나 트렌드 분석에 유용할 것으로 보입니다. 그록 분석 리포트 바로가기
젠스파크는 가장 인상적인 468개의 출처를 참고했지만, 처리 속도가 가장 느렸습니다. 그러나 방대한 자료 중에서 핵심적인 내용만을 선별하여 A4 7매/1500단어 분량의 응축된 보고서를 제공했습니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다양한 출처의 정보를 중복 없이 통합하고, 데이터의 신뢰성을 교차 검증하는 능력이 뛰어났다는 것입니다. 또한 인용한 출처의 신뢰성과 최신성을 명확히 표시하여 보고서의 학술적 가치를 높였습니다. 심층 연구와 종합적인 분석이 필요한 전문 분야의 보고서나 중요한 의사결정을 위한 자료로 활용하기에 적합합니다. 젠스파크 분석리포트 바로가기
<요약 정리>
▪️간략한 개요와 깔끔한 요약 정리 정보가 필요하다면 “퍼플렉시티”
▪️포괄적이고 일반적인 정보를 기반으로 구체적인 예시를 포함한 정보 정리가 필요하다면 “챗GPT”
▪️최신 자료를 바탕으로 직관적인 정리 보고서를 빠르게 작성해야 한다면 “그록”
▪️가장 방대한 자료를 기반으로 깊이 있는 완성도 높은 보고서 작성에는 “젠스파크”
기사는 챗GPT, 클로드, 퍼플렉시티, 그록, 젠스파크를 활용해 작성되었습니다.
관련 콘텐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