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디바이스 AI 전쟁

Image

출처: 미드저니 생성 이미지

최근 온디바이스 AI가 뜨거운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이는 클라우드 기반 AI의 한계를 극복하면서 동시에 사용자 경험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로 주목받고 있기 때문이다. 데이터 프라이버시 문제와 보안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온디바이스 AI는 데이터를 로컬 기기에서 처리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비용 증가와 에너지 소비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 비용 효율적이고 환경 친화적인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빠른 처리 속도와 네트워크 의존성 감소로 인해 사용자는 더 빠르고 안정적인 AI 서비스를 누릴 수 있으며, 특히 인터넷 연결이 제한된 환경에서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온디바이스 AI는 애플, 구글, 삼성 등 주요 기술 기업들이 적극적으로 도입하면서 더욱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기업들은 온디바이스 AI 기술을 통해 사용자에게 더욱 개인화되고 강력한 AI 경험을 제공하며, 다양한 제품과 서비스에 적용하여 혁신을 이끌고 있다.

애플의 온디바이스 AI 전략

Apple-WWDC24-Apple-Intelligence-hero-240610

출처: 애플 홈페이지

애플은 최근 WWDC 2024에서 ‘애플 인텔리전스’라는 온디바이스 AI를 발표하며,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강력한 프라이버시 보호와 개인화된 경험을 제공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애플의 A17 프로 칩 기반 온디바이스 프로세싱은 프라이버시 보호를 강화하며, ‘새로운 AI 분야 프라이버시 표준’을 제시한다고 밝혔다.

팀 쿡 애플 CEO는 애플 인텔리전스가 강력하고 직관적이며 통합된 경험을 제공한다고 언급하며, 이를 통해 기존의 생성 AI 경쟁에서 뒤처져 있던 애플이 새로운 AI 기능을 탑재한 대대적인 운영체제 업데이트를 공개했다.

애플은 또한 온디바이스 AI와 클라우드를 혼합한 하이브리드 방식을 채택하여 기기 내에서 처리하기 어려운 작업은 프라이빗 클라우드 컴퓨트로 옮겨 처리할 수 있게 했다. 이는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면서도 높은 연산 성능을 제공할 수 있는 방식이다.

애플의 AI 전략은 다양한 제품군에 적용되고 있다. 애플 워치에서는 건강 기능이 강화되어 사용자의 운동 강도와 지속 시간을 추적하며, 비전OS는 몰입감을 높이는 기능을 추가했다. 애플의 AI 기능은 새로운 iOS18, iPadOS18, macOS ‘세쿼이아’ 등 운영체제 업데이트에 포함되어 더욱 강력한 개인화와 보안 기능을 제공할 계획이다.

삼성의 온디바이스 AI 전략

출처: 삼성전자 뉴스룸

삼성은 온디바이스 AI를 다양한 제품군에 적용하여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고 있다. 삼성의 갤럭시 스마트폰은 구글 제미나이 나노를 사용해 디바이스 내 번역 기능, 음성 비서 서비스 빅스비를 통한 맞춤형 서비스 등을 제공한다.

삼성 헬스와 스마트 가전 제품에서는 사용자의 건강 데이터를 온디바이스 AI로 분석하여 맞춤형 건강 관리 솔루션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삼성의 패밀리 허브 냉장고는 온디바이스 AI를 활용해 식품 인식, 유통 기한 알림, 레시피 추천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삼성은 또한 에지 TPU와 같은 AI 가속기를 개발하여 IoT 장치에서도 고성능 AI 연산을 실현하고 있다. 이러한 AI 가속기는 스마트폰과 같은 디바이스에 탑재되어 실시간 번역, 카메라 개선, 음성 인식 등의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 경험을 크게 향상시킨다.

온디바이스 AI의 장점과 도전 과제

온디바이스 AI의 주요 장점은 다음과 같다.

  1. 데이터 프라이버시와 보안: 데이터가 로컬 기기에서 처리되어 보안 문제가 줄어든다. 이는 클라우드 기반 AI가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고 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보안 문제를 완전히 해결할 수 있는 중요한 장점이다.
  2. 비용 절감과 에너지 효율성: 클라우드 기반 AI에 비해 초기 비용 이후 장기적으로 더 효율적이며, 에너지 소비가 적다. 클라우드 기반 AI는 대규모 하이퍼컴퓨팅 파워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에너지 소모가 크지만, 온디바이스 AI는 적은 에너지로 작동하여 환경 목표에 부합한다.
  3. 빠른 처리 속도와 네트워크 의존성 감소: 로컬에서 실시간으로 처리되므로 응답 속도가 빠르고, 인터넷 연결 없이도 작동할 수 있다. 이는 인터넷 연결이 불안정하거나 제한적인 환경에서도 유용하며, 사용자 경험을 크게 개선할 수 있다.

그러나 온디바이스 AI가 성공적으로 자리잡기 위해서는 극복해야 할 도전과제가 여전히 남아 있다.

  1. 언어 모델의 경량화: 스마트폰이나 개인용 컴퓨터에서 AI 모델이 구동되기 위해서는 모델의 크기가 작아야 한다. 클라우드 AI의 경우 텍스트, 사진, 오디오, 비디오 등 멀티모달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지만, 온디바이스 모델은 특정 기능에 한정된 작은 크기의 모델이어야 한다.
  2. 하드웨어 혁신: 온디바이스 AI를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소프트웨어 측면에서의 모델 경량화뿐만 아니라 하드웨어 측면에서도 칩셋의 구조 변화가 필요하다.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 처리장치(GPU), 뉴럴처리장치(NPU) 등이 복합적으로 적용되어야 한다. 애플이 M1 칩으로 성능을 개선한 이유도 이와 같은 맥락이다.

이처럼 온디바이스 AI는 데이터 프라이버시, 비용 절감, 빠른 처리 속도 등 여러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혁신을 이끌어 낼 수 있다. 애플, 구글, 삼성과 같은 주요 기업들이 온디바이스 AI를 적극적으로 도입하면서, AI 기술은 점점 더 우리의 일상 속으로 스며들고 있다.

머지않아 사용자들은 AI를 특별히 의식하지 않으면서도 자연스럽게 자신의 디바이스에서 AI 기능을 활용하게 될 것이다. 스마트폰에서 문자를 작성할 때 더 정확한 예측 텍스트를 받거나, 사진을 찍을 때 자동으로 최적화된 설정이 적용되는 등 일상적인 기기 사용에서 AI의 혜택을 누리게 될 것이다.

이러한 변화는 사용자 경험을 크게 향상시키면서도, 기술이 너무나 자연스럽게 통합되어 있어 사용자들은 AI의 존재를 거의 인식하지 못할 정도가 될 것이다. 온디바이스 AI가 더욱 발전함에 따라, 우리의 일상 생활은 더욱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변화할 것이며, 이는 곧 기술과 인간의 완벽한 공존을 의미한다.

결국 온디바이스 AI는 우리의 삶에 자연스럽게 녹아들어, 기술의 존재를 의식하지 않고도 그 혜택을 누리는 시대를 열게 될 것이다. 이러한 미래는 이제 먼 이야기가 아니며,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빠르게 현실화 될 전망이다.




온디바이스 AI 전쟁 – AI 매터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