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AI 매터스 입니다.
AI 매터스는 생성형 AI 분야에서 수없이 쏟아져 나오는 소식 중에서 꼭 참고해야 할 내용을 엄선해 매일 기사를 발행하고 있습니다. 그 가운데 놓치지 말아야 할 중요한 이슈들을 정리하여 뉴스레터로 제공해드립니다.
AI 매터스와 함께 최신 AI 트렌드를 빠르게 파악해보세요.
갤럭시 Z 폴드 7과 플립 7이 삼성 언팩에서 공개됐다. 삼성은 지난 해부터 갤럭시가 ‘AI 폰’임을 끊임없이 강조해 왔다. 이번 발표 핵심도 여전히 AI였는데, 삼성은 한시간이 조금 넘는 언팩 행사에서 ‘AI’ 단어를 94회나 말했다. 분당 1회가 넘는 셈이다.
구글 AI와 갤럭시 AI
갤럭시 Z 폴드 7과 플립 7의 가장 큰 특징은 구글과 삼성의 AI 기술이 둘다 들어가 있다는 것이다.
구글은 자사 AI 제미나이(Gemini)를 삼성 폰에 적극 투입했다. 특히 제미나이 라이브를 주력으로 앞세운 것이 인상적이다. 멀티모달인 제미나이 라이브(Gemini Live)로는 이제 화면을 공유하면서 실시간으로 질문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로 냉장고 안을 비추면 “오늘 저녁 뭐 해먹지?”라는 질문에도 성심성의껏 답해준다. 보통 인간은 이 대답을 듣고 나면 자신이 뭘 먹고 싶은지를 깨닫게 돼 배민 앱을 켜게 된다. 유용하지 않지만 결과적으론 유용한 질문이 되는 셈이다.

그런데 여기서 드는 의문이 있다. 제미나이 탑재가 삼성 폰만의 장점일까? 안드로이드를 쓰는 모든 기기가 제미나이를 기본으로 쓸 수 있게 되고, 심지어 아이폰에서도 제미나이 앱을 받으면 제미나이 라이브를 지금 당장 사용할 수 있다.
기기 제조사가 OS와 AI를 만들 때의 강점은 ‘기기나 기본 앱 조작이 AI로 가능하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시리에게 애플 TV를 꺼달라고 부탁하거나 스마트폰 플래시 라이트를 켜달라고 명령할 수 있다. 삼성 폰에서는 원래 빅스비만 할 수 있는 행동이었다.
그러나 AI 시장에서 서로의 손을 굳게 잡아야만 하는 삼성과 구글은 큰 결정을 내린 듯하다. 이제는 제미나이로도 기기 제어가 가능하다. 기기의 모든 요소를 사용할 수 있는 건 아니겠지만, 기기의 몇 앱과는 상호작용이 가능하다. 삼성 노트, 알림, 캘린더, 리마인더 앱과 호환된다.

제시된 예시는 캘린더 연동이었다. “뉴욕에서 영화의 밤 등록해줘”라고 화면을 비추며 말하면 기기 앞에 있는 일정을 삼성 캘린더에 알아서 일정을 넣어주는 식이다. 구글 캘린더를 두고 삼성 캘린더를 쓰는 사람이 있는지는 의문이지만 하여튼 된다.
지난 해 출시 후 사랑을 받다 못해 애플이 모방하기까지 한 서클 투 서치(Circle to Search)는 역시 업그레이드됐다. 기존 웹서핑을 하다가 구글 렌즈를 실행하는 건 물론이고, 게임 등지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언팩에 나온 예시는 스마트폰 키노트에 매번 등장하는 ‘원신’ 화면이었는데, 보스 위에 동그라미를 그리자 보스 잡는 법, 정보 등이 검색됐고, 보스 잡는 법에 관련된 유튜브 동영상도 시청할 수 있었다. 비슷한 방식으로 길거리 간판도 검색할 수 있다.
구글 AI 프로 구독을 제공하는 것도 장점이다. 제미나이 2.5 프로와 비디오 생성 AI인 비오 3 패스트(Veo 3 Fast)까지 포함된 항목으로, 돈을 내고 구독하려면 월 2만9000원이 든다. AI 프로를 사용하고 싶은 사용자들에게는 17만4000원의 절감 효과가 있는 셈이다. Z 폴드 7 제품은 넓은 화면 크기로 인해 영상 편집하기도 좋은 제품이니, 비오 3를 사용해 생성형 AI 영상을 만들어보는 것도 좋겠다.
갤럭시 언팩 2025에 대한 더 날카로운 분석은 아래 기사에서 확인하세요!👇
그게 왜 갤럭시 AI인가 싶지만 가장 뛰어난 AI 폰, 갤럭시 Z 폴드 7·플립 7
갤럭시 Z 폴드 7과 플립 7이 삼성 언팩에서 공개됐다. 삼성은 지난 해부터 갤럭시가 ‘AI 폰’임을 끊임없이 강조해 왔다. 이번 발표 핵심도 여전히 AI였는데, 삼성은 한시간이 조금 넘는 언팩 행사에서 ‘AI’ 단어를 94회나 말했다. 분당 1회가 넘는 셈이다. 구글 AI와 갤럭시 AI 갤럭시 Z 폴드 7과 플립 7의 가장 큰 특징은…
AI 매터스 유튜브
주간 AI 뉴스 브리핑
AI Campaign 눈에 띄는 AI 캠페인
[리얼 캠페인 탐구] “사람이 만든 게 아닙니다” AI 전면 활용해 ‘AX 컴퍼니’ 선언한 LG U⁺
“이것은 사람이 만든 게 아닙니다.” 배우 손석구의 첫 마디부터 시청자를 압도하는 이 광고는 정말로 AI 기술을 전면적으로 활용해 제작되었습니다. 기획부터 이미지 생성, 편집, 시각효과까지 AI 기술을 혁신적으로 도입한 실험적 TV 광고죠. LG U⁺가 선보인 이번 캠페인은 단순한 제작 실험을 넘어 ‘통신사’에서 ‘AX 컴퍼니’로의 전환을 알리는 강력한 브랜드 선언이었습니다. 과연 LG…
AI Tool 요즘 핫한 AI 툴 정보
Reports Summary 주목할 만한 리포트와 논문들
데이터 제공하면 시민도 보상받는다… 한국의 새로운 AI 정책 전략 ‘AI 데이터뱅크’
인공지능(AI)은 이제 단순히 누가 더 뛰어난 기술을 갖고 있느냐보다, 누가 그것을 잘 활용하느냐가 더 중요해진 시대다. 예전에는 대기업이나 기술 선진국이 대형 모델을 개발하는 것이 경쟁력이었지만, 지금은 AI를 일상과 산업에 얼마나 똑똑하게 접목하느냐가 성패를 좌우한다.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은 이런 흐름에 맞춰 ‘AI 활용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청사진을 담은 「AI 활용 강국을 위한 정책과제집」을…
자살 방법까지 알려줘… AI 심리상담의 위험성
요즘 많은 사람들이 챗 GPT 같은 AI에게 고민상담을 받고 있다. 하지만 AI가 진짜 심리상담사를 대신할 수 있을까? 미국 스탠포드대학교 연구진이 충격적인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AI는 아직 심리상담사가 되기에는 너무 위험하다는 것이다. 연구진은 GPT-4o, Llama 등 유명한 AI 모델들과 실제로 서비스 중인 AI 상담 앱들을 테스트했다. 그 결과 AI들이 정신질환자를 차별하고,…
“개발자들, AI 쓰면 더 빨라진다?”… 실제로는 19% 더 느렸다
AI 프로그램이 숙련된 개발자들을 오히려 19% 더 느리게 만든다는 놀라운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연구기관 METR이 실시한 이 실험에서는 프로그래밍 경험이 풍부한 16명의 개발자들이 246개의 실제 코딩 작업을 해봤다. 가장 충격적인 점은 개발자들 스스로도 AI의 효과를 완전히 착각하고 있었다는 것이다. 작업을 시작하기 전 개발자들은 “AI를 쓰면 24% 더 빨라질 것”이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