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AI 매터스 입니다.
AI 매터스는 생성형 AI 분야에서 수없이 쏟아져 나오는 소식 중에서 꼭 참고해야 할 내용을 엄선해 매일 기사를 발행하고 있습니다. 그 가운데 놓치지 말아야 할 중요한 이슈들을 정리하여 뉴스레터로 제공해드립니다.
AI 매터스와 함께 최신 AI 트렌드를 빠르게 파악해보세요.
구글이 만든 ‘한 칸의 마법’, 옴니박스 전략
2008년, 구글 크롬은 겉보기엔 사소한 변화를 시도했습니다. 기존 브라우저에서 따로 있던 ‘주소 입력창’과 ‘검색창’을 하나로 합친 것이죠. 이 통합된 창을 ‘옴니박스(Omnibox)’라고 불렀습니다.

변화의 핵심은 단순함이었습니다. 사용자는 더 이상 “이게 주소인가, 검색어인가?”를 고민할 필요가 없어졌습니다. 그냥 떠오르는 대로 타이핑하면 됐죠. ‘naver.com’을 치면 네이버로 가고, ‘오늘 날씨’를 치면 검색 결과가 나왔습니다.
이 작은 변화가 만든 결과는 폭발적이었습니다. 크롬은 17년 만에 전 세계 브라우저 시장의 68%를 차지했고, 30억 명이 넘는 사람들이 사용하는 ‘웹의 관문’이 됐습니다. 사람들은 ‘일단 검색해 보자’는 습관을 갖게 됐고, 이는 구글의 검색 지배력을 더욱 공고히 했죠.
핵심 교훈은 명확합니다. 기술의 복잡함을 숨기고 사용자의 선택 부담을 줄이면, 사람들의 행동이 바뀌고 시장 판도가 뒤바뀐다는 것입니다.
한국에서도 이런 변화가 극명하게 나타났습니다. 2011년까지 MS의 인터넷 익스플로러(Internet Explorer)가 90% 이상을 차지했던 한국 브라우저 시장에서 크롬은 2016년 4월 처음으로 1위를 차지했고, 2019년에는 70%를 넘어섰습니다. 흥미롭게도 크롬 사용자가 늘어나면서 구글 검색 점유율도 함께 상승하고 있습니다. 브라우저가 검색 습관을 바꾸고, 이것이 다시 정보 생태계 전체를 재편하는 선순환이 일어난 것이죠.
당신이 모르는 사이 시작된 AI 브라우저 시대
마이크로소프트는 2022년 6월 IE 서비스를 완전히 종료하고 엣지 브라우저로의 전환을 완료했습니다. 그런데 MS는 여기서 멈추지 않았습니다. 엣지에 코파일럿을 통합하면서 브라우저 자체를 AI 비서로 탈바꿈시켰죠.

지금 엣지를 사용해 보면 웹페이지를 보면서 오른쪽 코파일럿 패널에서 “이 페이지 내용 요약해 줘”라고 요청하면 핵심만 골라 정리해 줍니다. 복잡한 논문을 읽다가 “이 연구의 한계점이 뭐야?”라고 물으면 바로 답변해 주죠.
더 놀라운 건 페이지를 떠나지 않고도 관련 정보를 확장해서 설명해 준다는 점입니다. 뉴스 기사를 읽으면서 “이 사건의 배경은?”이라고 물으면 추가 자료를 찾아 설명해 줍니다. 이미 많은 사용자들이 웹 서핑하면서 AI와 대화하는 경험에 익숙해지고 있는 것이죠.
하지만 MS의 접근은 기존 브라우저에 AI를 ‘추가’하는 방식이었습니다. 오픈AI와 퍼플렉시티는 한 단계 더 나아가 브라우저 자체를 AI 중심으로 새롭게 설계하려 합니다.
오픈AI, ‘웹 에이전트’라는 새로운 상상
오픈AI는 수 주 내 새로운 브라우저를 공개할 예정입니다. 이 브라우저의 첫 화면은 우리에게 익숙한 검색창이 아니라 ChatGPT처럼 대화할 수 있는 창입니다. 더 나아가 ‘Operator’라는 AI가 사용자 대신 웹페이지를 돌아다니며 예약이나 쇼핑을 처리합니다.
“항공권 예약해 줘”라고 말하면 AI가 여러 사이트를 돌아다니며 최적의 옵션을 찾아 결제 직전까지 진행하는 상상해 보세요. 사용자는 복잡한 예약 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게 됩니다.
퍼플렉시티 ‘코멧’, 요약의 힘으로 승부
퍼플렉시티는 7월 9일 ‘코멧(Comet)’이라는 브라우저를 출시했습니다. 이 브라우저는 검색 결과를 길게 나열하는 대신 핵심만 한 줄로 요약해줍니다. 코멧 어시스턴트는 사용자의 이메일과 캘린더를 읽고 일정 잡기, 예약, 쇼핑까지 대행하죠.
복잡한 보험 약관을 열면 “핵심 3가지 혜택”과 “주의사항 2가지”를 한눈에 정리해 보여줍니다. 길고 복잡한 공과금 고지서를 열면 “이번 달 7% 상승, 주된 원인은 냉방 사용”이라고 요약해 줍니다.
이미 시작된 ‘클릭 없는 세상’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기사에서 확인하세요!👇
구글 크롬 18년 독주 끝나나… 오픈AI·퍼플렉시티 ‘대화하는 브라우저’ 출격
구글이 만든 ‘한 칸의 마법’, 옴니박스 전략 2008년, 구글 크롬은 겉보기엔 사소한 변화를 시도했습니다. 기존 브라우저에서 따로 있던 ‘주소 입력창’과 ‘검색창’을 하나로 합친 것이죠. 이 통합된 창을 ‘옴니박스(Omnibox)’라고 불렀습니다. 변화의 핵심은 단순함이었습니다. 사용자는 더 이상 “이게 주소인가, 검색어인가?”를 고민할 필요가 없어졌습니다. 그냥 떠오르는 대로 타이핑하면 됐죠. ‘naver.com’을 치면 네이버로 가고,…
AI 매터스 유튜브
주간 AI 뉴스 브리핑
AI Campaign 눈에 띄는 AI 캠페인
[리얼 캠페인 탐구] 카타르항공이 1,300만 뷰 기록한 이유? 10초 만에 ‘영화 속 주인공’ 되는 AI 마법
“내가 영화 속 주인공이 된다고?” 단순한 상상이 현실이 되는 순간입니다. 지난 9월, 카타르항공이 선보인 ‘AI 어드벤처’ 캠페인은 사용자가 자신의 사진 한 장만 업로드하면, AI가 10초 만에 할리우드 영화의 주인공으로 변신시켜주는 마법 같은 경험을 제공했습니다. 그 결과 단 2주 만에 1,300만 회라는 폭발적인 조회수를 기록하며, 항공업계 마케팅의 새로운 역사를 썼습니다. 과연…
AI Tool 요즘 핫한 AI 툴 정보
Reports Summary 주목할 만한 리포트와 논문들
OECD 21개국 조사 결과 “한국은 일반인 대상 AI 교육 전무”… 국가별 AI 역량 격차 심각
한국의 AI 교육 현황이 심각한 편중을 보이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지능정보원(NIA)이 발표한 OECD 보고서 분석에 따르면, 2023년 기준 한국의 전체 직업능력개발훈련 397만명 중 AI 관련 교육을 받은 인원은 과정 수 기준으로 3.01%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 우려되는 점은 한국이 AI 전문가 양성에만 집중하고 있어 일반 대중의 AI 리터러시 교육이 전무하다는…
기업들이 세무 업무에 AI 도입 망설이는 이유? …’이것’ 때문
디지털 및 기술 컨설팅 기업 딜로이트(Deloitte)의 조사에 따르면 생성형AI(Generative AI)의 급속한 발전이 기업들의 세무 기술 투자 전략에 새로운 고민을 안겨주고 있다. 복잡해지는 세무 의무와 실시간 보고 요구, 세무 투명성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면서 신뢰할 수 있고 정확하며 목적에 부합하는 세무 데이터를 즉시 확보할 수 있는 역량이 필수 조건이 되고 있는 상황에서,…
구글이 만든 ‘의사 AI’, X선 사진 보면서 환자 병력도 읽어… 오픈소스로 공개
구글에서 병원과 의료진을 도와줄 수 있는 특별한 AI를 만들었다. 이 AI의 이름은 ‘메드젬마(MedGemma)’인데, 마치 의사처럼 X선 사진을 보고 병을 찾아내거나 환자 기록을 읽고 이해할 수 있다. 지금까지 나온 일반적인 AI들은 의료 분야에서는 그리 똑똑하지 못했다. 하지만 메드젬마는 의료 데이터만으로 따로 훈련을 받아서 의료 분야에서 훨씬 뛰어난 능력을 보여준다. 실제로 같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