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기업들의 잇따른 스마트 안경 출시, 왜 그렇게 중요할까?
지난 10년간 우리의 일상을 완전히 바꿔놓은 스마트폰이 새로운 변화를 맞이하고 있습니다. 이제 우리는 손에 들고 있던 스마트폰을 눈앞으로 가져오려 합니다. 메타, 삼성, 애플, 바이두 등 글로벌 테크 기업들이 잇따라 AI 스마트 안경을 발표하면서, ‘안경’이라는 친숙한 도구가 우리의 미래를 어떻게 바꿔놓을지 뜨거운 관심이 쏟아지고 있습니다.
손가락 터치 대신 시선과 음성으로, 화면 대신 눈앞의 공간을 활용하는 새로운 컴퓨팅 시대가 열리고 있습니다. 이번 뉴스레에서는 AI가 가져올 스마트 안경의 혁신과 주요 기업들의 야심찬 도전을 살펴보겠습니다.
왜 지금 스마트 안경인가?
스마트폰 이후의 차세대 컴퓨팅 플랫폼을 향한 경쟁이 뜨겁습니다. 특히 생성형 AI의 발전과 함께, 스마트 안경은 단순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넘어 우리의 일상을 혁신할 새로운 인터페이스로 주목받고 있죠.
메타는 레이밴과 협력하여 ‘레이밴 메타 스마트 안경’을 출시한 바 있습니다. 일상에서 쉽게 콘텐츠를 촬영하고 공유할 수 있는 이 제품은 스마트 안경의 대중화를 촉진했죠. 한편, 메타는 ‘오라이언’이라는 증강 현실(AR) 스마트 안경도 개발 중입니다. 이 제품은 스마트폰을 대체할 차세대 컴퓨팅 디바이스로서, 메타버스와 현실 세계를 잇는 연결고리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 출시 제품: 레이밴 메타 스마트 안경
- 특징:
- 레이밴과 협력하여 카메라와 스피커가 내장된 스마트 안경 출시
- 사진 및 동영상 촬영, 음악 스트리밍 등 기능 제공
- 2021년 9월 출시
- 비전 및 전략: 사용자들이 일상에서 손쉽게 콘텐츠를 생성하고 공유할 수 있는 플랫폼 제공
- 현재 진행 중인 프로젝트: 메타 오라이언 (Orion)
- 특징:
- 증강 현실(AR) 기능을 갖춘 스마트 안경으로, 투명한 렌즈와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제공
- 스마트폰을 대체할 차세대 컴퓨팅 디바이스로 개발 중
- 2024년 9월 시제품 공개
- 비전 및 전략: 메타버스와 현실 세계를 연결하는 디바이스를 제공하여, 사용자들이 새로운 방식으로 소통하고 상호작용 할 수 있는 환경 구축을 목표
구글은 예전 ‘구글 글래스’를 통해 스마트 안경 시장에 도전했으나, 여러 한계로 인해 큰 성공을 거두지 못했어요. 하지만 이번에는 ‘프로젝트 아스트라’로 재도전 중입니다. AI 기반 스마트 안경으로, 실시간 정보 처리와 번역 기능을 제공하며, 더 똑똑한 정보 접근성을 목표로 하고 있답니다. 과거의 실패를 딛고, 구글이 어떤 변화를 이끌어낼지 기대됩니다.
- 출시 제품: 구글 글래스 (Google Glass)
- 특징:
- 2013년 출시된 스마트 안경으로, 5MP 카메라와 720p 비디오 촬영 기능 탑재
- 음성 명령을 통해 사진 촬영, 길 안내, 메시지 작성 등 기능 수행
- 2015년 일반 소비자용 판매 중단 후 기업용으로 한정 판매
- 비전 및 전략: 구글은 글래스를 통해 정보 접근의 새로운 방식을 제시하고자 했으나, 개인정보 보호 및 디자인 문제 등으로 인해 일반 소비자 시장에서는 성공을 거두지 못함
- 현재 진행 중인 프로젝트: 프로젝트 아스트라 (Project Astra)
- 특징:
- AI 기반 스마트 안경 프로젝트로, 제미나이를 활용해 실시간 정보 처리와 번역 기능 제공
- 헤드폰, 카메라, AI 비서 기능을 결합한 디자인 목표
- 2025년 공식 출시 예정
- 비전 및 전략: 일상 생활에서의 정보 접근성과 편의성 향상을 목표
애플은 2025년에서 2026년 사이에 ‘Apple Vision Pro 2’를 출시한다고 발표했습니다. 혼합 현실(MR) 헤드셋인 이 제품은 고해상도 디스플레이와 공간 오디오 기능을 탑재해 몰입도 높은 경험을 제공합니다. 이와 함께 ‘아틀라스’라는 코드명의 스마트 안경도 개발 중인데요, 일반 안경과 비슷한 디자인으로 자연스러운 증강 현실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어요. 애플의 목표는 손쉬운 AR 경험으로 새로운 컴퓨팅 시대를 열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 출시 제품: Apple Vision Pro 2
- 특징:
- 혼합 현실(MR) 헤드셋으로, 고해상도 디스플레이와 공간 오디오 기능 탑재
- 눈과 손동작 추적을 통해 직관적인 인터페이스 제공
- 2025년 3분기 출시 예정
- 비전 및 전략: 새로운 차원의 컴퓨팅 경험을 제공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혁신 추구
- 현재 진행 중인 프로젝트: 코드명 아틀라스
- 특징:
- 일반 안경과 유사한 디자인의 스마트 안경 개발 중
- 직원들의 피드백을 모으는 작업 진행 중
- 비전 및 전략: 차별화된 디자인과 에어팟과의 연동성을 강화하여 AR 안경 시장에서 독창적이고 편리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
샤오미는 ‘Xiaomi Smart Glasses’를 통해 스마트 안경 시장에 발을 들였습니다. 5MP 카메라와 마이크로 LED 디스플레이를 탑재해 내비게이션과 전화 수신 기능을 제공하며, 합리적인 가격으로 기술의 대중화를 목표로 하고 있어요. 샤오미의 강점인 가성비를 스마트 안경에도 녹여낸 것이죠.
- 출시 제품: Xiaomi Smart Glasses
- 특징:
- 5MP 카메라, 마이크로 LED 디스플레이 탑재
- 내비게이션, 전화 수신 등 기능 제공
- 2025년 4월 미팬 페스티벌(Mi Fan Festival)에서 제품 공개 후 2분기 출시 예정
- 비전 및 전략: 사용자들에게 합리적인 가격의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제공해 기술의 대중화 목표
삼성전자: XR 안경으로 갤럭시 생태계 연결
삼성전자는 현재 ‘XR 안경’ 프로젝트를 진행 중입니다. 구글과 퀄컴과 협력하여 개발하고 있는 이 혼합 현실(XR) 안경은 스마트폰과 연동되어 사용될 예정으로, 2025년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삼성은 XR 안경을 통해 갤럭시 생태계를 한층 강화하고, 사용자가 더욱 몰입감 있는 경험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합니다.
- 진행 중인 프로젝트: XR 안경 (가칭)
- 특징:
- 구글 및 퀄컴과 협력하여 혼합 현실(XR) 안경 개발 중
-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안경 형태의 기기를 목표로 함
- 2025년 출시 예정
- 비전 및 전략: 갤럭시 생태계의 연결성을 강화하고, 사용자에게 풍부한 경험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
빅테크의 야심찬 도전
잠시 주춤했던 스마트 안경이 다시 주목받고 있는 이유는 현실과 가상 세계를 자연스럽게 연결하고, 손쉽게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새로운 ‘컴퓨팅 인터페이스’로서의 잠재력 때문입니다. 스마트안경 시장은 2023년 약 6억 3천만 달러로 평가되었으며, 2024년에는 7억 2천만 달러, 2032년에는 19억 8천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며, 이는 연평균 성장률(CAGR) 13.5%에 해당합니다.*
이러한 성장은 기술 발전과 웨어러블 기기에 대한 수요 증가, 그리고 증강현실(AR)과 가상현실(VR) 기술의 발전에 기인합니다. 특히, 메타, 애플, 구글 등 주요 기업들이 스마트 안경 개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이는 시장 확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데이터 출처: Business Research Insight
해결해야 할 과제
- 기술적 완성도: 현재 스마트 안경은 배터리 수명, 디스플레이 선명도, 프로세싱 능력 등에서 개선이 필요합니다. 특히 실외에서의 가시성과 장시간 착용 시의 불편함은 주요 해결 과제입니다.
- 사생활 보호: 카메라가 탑재된 스마트 안경은 타인의 프라이버시를 침해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습니다. 촬영 중임을 알리는 LED 표시등 같은 기술적 해결책과 함께, 사회적 합의도 필요한 상황입니다.
- 배터리 효율: 현재 대부분의 스마트 안경은 2-3시간의 배터리 수명을 제공합니다. AI 기능 사용 시 더 빨리 소진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저전력 AI 칩과 배터리 기술의 혁신이 필요합니다.
- 가격 경쟁력: 고급 부품과 AI 기술 탑재로 인해 높은 가격대가 형성되어 있습니다. 대중화를 위해서는 합리적인 가격대 책정과 함께, 차별화된 가치 제공이 필요합니다.
스마트 안경은 이제 단순한 미래 기술이 아닌, 곧 우리 일상에 깊숙이 자리 잡을 현실이 되어가고 있습니다. AI 기술의 발전과 함께, 우리가 정보와 상호작용하는 방식에 큰 변화가 올 것으로 기대됩니다.
여러분은 어떤 스마트 안경이 가장 기대되시나요? 이번 뉴스레터를 통해 스마트 안경에 대한 다양한 기업들의 전략과 제품들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Reports Summary 주목할 만한 리포트와 논문들
AI 도입 의지는 높지만 실제 활용은 주춤… “직원 76%가 AI 전문가 되고 싶어”
슬랙(Slack)이 발표한 ‘2024 워크포스 인덱스(Workforce Index)’ 보고서에 따르면, 기업 경영진의 99%가 올해 AI 투자를 계획하고 있으며, 97%가 비즈니스 운영에 생성형 AI를 도입해야 한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영진의 72%는 ‘상당한 수준’의 투자를 우선순위로 두고 있다. 직원들의 76%도 AI 전문가가 되어야 한다는 긴급성을 느끼고 있으며, 이는 주로 산업 트렌드와 개인적 목표에서 비롯된…
생성형 AI로 장애인 접근성 혁신 나선다…미국 정부기관 도입 본격화
NASCIO가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기준 미국 전체 인구의 13%가 최소 한 가지 이상의 장애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미국 노동인구 중 장애인 비율은 2022년 21.3%에서 2023년 22.5%로 증가했다. 이러한 상승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생성형 AI(Generative AI)가 장애인들의 직장 생활과 일상생활의 접근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는 도구로…
생성형 AI가 바꾸는 미디어·엔터테인먼트 산업 지형도
딜로이트 인사이트의 최신 보고서에 따르면, 미디어·엔터테인먼트(M&E) 기업들은 생성형 AI 시대를 맞아 ‘업의 본질’이 변화하는 전환기를 맞고 있다. 기존의 콘텐츠 판매 중심 사업에서 AI 기업에 학습 데이터를 제공하는 새로운 수익 모델이 등장했다. 미국 온라인 커뮤니티 ‘레딧'(Reddit)은 오픈AI와 데이터 라이센싱 계약을 체결해 사용자 게시글을 AI 학습 데이터로 제공하는 새로운 수익원을 창출했다. 스톡…
AI로 생성한 시, 인간 시인보다 더 높은 평가받아… “더 인간적”이라는 평가도
피츠버그 대학교 연구진이 실시한 두 차례의 실험 결과, AI가 생성한 시와 유명 시인들의 작품을 구별하는 것이 불가능한 수준에 이르렀음이 밝혀졌다. 첫 번째 실험에서 1,634명의 참가자들은 AI가 생성한 시를 식별하는데 46.6%의 정확도를 보였으며, 이는 우연의 확률보다도 낮은 수치다. 특히 참가자들 간의 판단 일치도도 매우 낮았다(Fleiss’s kappa = 0.005, p < 0.001).…
Popular News 놓치지 말아야 할 최 AI 뉴스
Newsletters 지난 뉴스레터 다시보기
관련 콘텐츠 더보기